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NET 8에서 Native AOT를 활용한 ASP.NET Core 웹 앱 성능 최적화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ASP.NET Core 웹 앱 개발자
  • 성능 최적화 및 배포 효율성 향상에 관심 있는 중급~고급 개발자
  • .NET 8 기반 애플리케이션 구축 경험자

핵심 요약

  • Native AOT 컴파일JIT 컴파일러 없이 실행 파일 생성으로 시작 시간 30~50% 단축
  • 메모리 사용량 감소배포 파일 크기 40% 이상 축소 (코드 트리밍 기능 활용)
  • 자체 실행 파일 생성으로 런타임 종속성 제거 (예: --self-contained true 옵션)
  • 제한 사항
  • Reflection.Emit, 런타임 코드 생성 지원 불가
  • Razor 뷰 컴파일사전 컴파일 필수

섹션별 세부 요약

1. Native AOT의 주요 이점

  • 시작 시간 최적화

- 사전 컴파일된 코드JIT 컴파일 과정 생략

  • 메모리 효율성 향상

- 런타임에 JIT 컴파일러 실행 필요 없음

  • 배포 파일 크기 축소

- 코드 트리밍을 통해 불필요 코드 제거 (예: Trimming=true 설정)

  • 자체 실행 파일 생성

- 런타임 포함으로 서버 환경별 별도 설치 필요 없음

2. Native AOT의 주요 제한사항

  • 동적 기능 지원 제한

- Reflection.Emit, 런타임 코드 생성 사용 불가능

  • 라이브러리 호환성 문제

- Reflection/동적 로딩 강한 3rd-party 라이브러리 호환성 저하

  • 코드 설계 요구사항

- 지원되지 않는 기능 사용 시 컴파일 오류 발생

  • Razor 뷰 제약

- 런타임 컴파일 불가사전 컴파일 필수

3. ASP.NET Core MVC에서 Native AOT 구현 방법

  • 프로젝트 파일 수정

```xml

net8.0

true

true

win-x64

```

  • 배포 명령 실행

```bash

dotnet publish -c Release -r win-x64 --self-contained true /p:PublishAot=true

```

  • 생성된 실행 파일 실행

- publish 폴더 내 win-x64 디렉토리에서 실행

결론

  • Native AOT 적용 시 동적 기능 사용 전 검증 필수 (예: Reflection.Emit)
  • Razor 뷰는 사전 컴파일 또는 동적 생성 기능 사용
  • 배포 전 성능 측정 (예: dotnet trace로 런타임 분석) 및 호환성 테스트 수행
  • .NET 8 기반 앱에서는 Native AOT가 성능 향상 핵심 요소로 활용 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