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율적인 자기 주의 메커니즘: LLM 최적화 전략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효율적인 자기 주의 메커니즘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인공지능, 머신러닝

대상자

- 대상자: 데이터 과학자, 머신러닝 엔지니어, 자연어 처리(NLP) 연구자

- 난이도: 중급 이상 (선형 대수, softmax, 커널 함수 이해 필요)

핵심 요약

  • 자기 주의 메커니즘의 시간/공간 복잡도 개선:

- O(N²) 복잡도를 O(N)으로 줄이는 커널 기반 자기 주의 방식 도입

  • 수학적 변환:

- softmax 함수 대신 ϕ(x) = exp(x)와 같은 커널 함수 사용

- ϕ(Qi·Kj)를 통해 행렬 곱 연산 최소화

  • 커널의 조건:

- ϕ(x) ≥ 0 (해석 가능성, 수치적 안정성 확보)

섹션별 세부 요약

1. 문제 정의: 전통적 자기 주의의 한계

  • 시간/공간 복잡도:

- O(N²) 복잡도로, 문맥 길이(N) 증가 시 성능 저하

- 메모리 사용량: N×N 행렬 저장 필요

  • softmax 기반 자기 주의 수식:

- Attention(Q, K, V) = softmax(QKᵀ/√din)·V

- 행렬 곱 연산(QKᵀ) 및 softmax 계산으로 N² 연산 발생

2. 커널 기반 자기 주의 수식 도입

  • softmax 대체:

- ϕ(Qi·Kj)를 사용하여 softmax의 지수 계산 생략

- Vi' = [∑ϕ(Qi·Kj)·Vj] / [∑ϕ(Qi·Kj)]

  • 커널 함수의 수학적 표현:

- ϕ(x, y) = ⟨ϕ(x), ϕ(y)⟩ (특징 매핑 후 내적)

- Vi' = [∑ϕ(Qi)⊤ϕ(Kj)·Vj] / [∑ϕ(Qi)⊤ϕ(Kj)]

3. 효율성 분석 및 커널 선택 조건

  • 복잡도 개선:

- 커널 기반 방식: O(N) 복잡도, 전통적 방식 대비 100배 이상 성능 향상

- 메모리 사용량: N×D 크기의 행렬만 저장 (D: 임베딩 차원)

  • 커널의 필수 조건:

- ϕ(x) ≥ 0 (음수 무게 생략 → 해석 가능성, 분모 0 발생 방지)

- 커널은 특징 매핑 후 내적 표현 가능 (예: ϕ(x) = xsoftmax와 동일)

결론

  • 실무 적용 팁:

- 커널 기반 자기 주의장문의 문맥 처리에 적합

- ϕ(x) = x 사용 시 softmax 기반 모델과 동일한 결과

- 커널 선택 시 ϕ(x) ≥ 0 조건 확인 필수 (수치적 안정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