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러 0%, MSA에서의 Enum 관리 전략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개발 툴
대상자
MSA 환경에서 Enum 관리 전략을 설계/구현하는 개발자 및 팀
(중간~고급 수준, MSA 아키텍처 이해가 필요)
핵심 요약
- EnumString 도입으로
toEnumOrElse
,toEnumOrThrow
등 유연한 역직렬화 처리 가능 - ArchUnit을 통한 제공자-소비자 패턴의 EnumString 사용 강제
- Meta-Expose 시스템으로 Enum 버전 동기화 상태 자동 모니터링
섹션별 세부 요약
1. MSA 환경에서의 Enum 문제
- Enum 공유 시 버전 불일치로 인한 Deserialize 에러 자주 발생
- 서비스 확장/변경 시 새로운 Enum 값 추가로 인한 빈번한 휴먼 에러
- 클라이언트-서버 간 통신 방향에 따라 오류 처리 전략이 달라짐
2. Use Case 별 Enum 관리 전략
- 클라이언트 → 서버: 정의되지 않은 Enum 값은 즉시
400 Bad Request
응답 - 서버 → 클라이언트: 클라이언트가
UNKNOWN
, fallback, 경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처리 가능 - Kafka 소비자/이벤트 핸들러 등 외부 통신 시 동일한 접근 필요
3. 해결책 개요
- EnumString:
toEnumOrElse
,toEnumOrNull
,toEnumOrThrow
메서드로 역직렬화 유연성 제공 - ArchUnit: 제공자 → 소비자 패턴에서 EnumString 사용을 빌드 시점에 강제
- Meta-Expose: 중앙 Hub에서 Enum 버전 동기화 상태 실시간 모니터링 및 경고
4. EnumString 구현 예시
AnimalString
클래스 정의:EnumString
인터페이스 구현- DTO에서
AnimalString
타입 사용:
```kotlin
data class Foo(val animal: AnimalString)
foo.animal.toEnumOrElse { return@toEnumOrElse Animal.DOG }
```
toEnumOrThrow()
메서드: 버전 불일치 시 예외 강제 발생
5. Meta-Expose 시스템 구조
- 자동 노출된 Enum API: 서비스 코드 변경 없이 자동 구성
- Meta-Expose-Hub: 서비스 식별 → Enum 정의값 수집 → 일관성 검증
- Grafana 모니터링: Prometheus 지표 수집 및 실시간 시각화
결론
- EnumString + ArchUnit + Meta-Expose 조합으로 MSA 환경의 Deserialize 오류 0% 달성
- Meta-Expose Hub를 통해 Enum 버전 동기화 상태 실시간 감지 및 경고 제공
- 자동화된 검증 체계로 신규 구성원의 실수를 사전에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