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접근성 법안: 개발자들이 알아야 할 점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웹 및 앱 개발자, 디자이너, 품질 보증 담당자
- 난이도: 중간 (기술적 개념과 실무 적용 예시 포함)
핵심 요약
- 2025년 6월 28일부터 EU 시장에서 제공되는 디지털 제품은 WCAG 2.1 AA 및 EN 301 549에 준해야 함
- ARIA(Accessible Rich Internet Applications) 사용, 키보드 네비게이션 지원,
alt
속성 적용 등 기본 접근성 요구사항 준수 필수 - axe-core, Pa11y, Playwright 등의 도구로 자동화된 접근성 테스트 실행 가능
- 헤딩 구조, 색상 대비, 포커스 관리 등 UI/UX 설계 시 핵심 원칙 반영
섹션별 세부 요약
1. 유럽 접근성 법안(EAA) 개요
- 2025년 6월 28일부터 EU 내 디지털 제품에 접근성 강제 적용
- WCAG 2.1 AA 및 EN 301 549 기준 준수 필요
- 웹사이트, 모바일 앱, 전자상거래 플랫폼, 은행 서비스 등 주요 대상 범위 포함
2. 접근성 준수 필수 사항
- 폼 필드에 라벨 적용 (
)
- 아이콘 버튼에
aria-label
속성 추가 - 이미지에 의미 있는
alt
텍스트 제공 (alt="..."
) - 헤딩 순서 정리 (
→
→ ...)
3. 접근성 테스트 도구 및 방법
- axe-core 사용:
```javascript
import axe from 'axe-core';
axe.run(document).then(({ violations }) => {
console.log(violations);
});
```
- Playwright + axe-core:
```javascript
await injectAxe(page);
await checkA11y(page, '#modal-content');
```
- 색상 대비 검증: 4.5:1 (일반 텍스트), 3:1 (대형 텍스트)
4. 실무 적용 팁
- 모든 UI 요소를 키보드로 조작 가능하게 설계
- 모달 열림 후 포커스 자동 이동 (
dialog.focus()
) - 동적 변경 시 ARIA live region 사용 (
aria-live="polite"
)
결론
- 2025년 이전에 접근성 테스트 도구 도입 및 HTML 구조 리뷰 필수
- WCAG 2.1 AA 기준 준수를 위해
aria-label
,alt
, 헤딩 구조 등 기본 원칙 적용 - axe-core, Playwright 등 자동화 도구를 활용한 지속적인 접근성 검증으로 법적 위험 최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