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벤트 소싱 vs 블록체인: 불변성의 중요성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데이터 저장 및 불변성
대상자
- 개발자/아키텍처 담당자: 데이터 관리 방식 선택 시 비교 분석 필요
- 기술 결정자: 시스템 성능, 비용, 보안 요구사항 고려 시
- 난이도: 중급 이상 (데이터 저장 패턴 이해 필요)
핵심 요약
- 이벤트 소싱:
EventStore
를 기반으로 한 중앙 집중형 데이터 관리, 고성능 내부 시스템에 적합 - 블록체인: 분산형 거래 기록, 다중 당사자 간 신뢰 부족 환경 (예: 공급망, 암호화폐)에 최적
- 비용/성능 차이: 이벤트 소싱은 초당 10만 건 처리 가능, 블록체인은 3~100 TPS (체인에 따라 다름)
섹션별 세부 요약
1. 이벤트 소싱과 블록체인의 정의
- 이벤트 소싱:
OrderPlaced
,UserBanned
과 같은 도메인 이벤트를 기록한 추가 전용 로그 - 블록체인: 공개/비공개 거래 기록, 공동 서명 방식으로 데이터 생성
- 핵심 차이: 이벤트 소싱은 내부 시스템에, 블록체인은 조직 간 협업에 초점
2. 주요 사용 사례
- 이벤트 소싱:
- 디버깅 (예: "왜 사용자의 잔액이 $0인가?")
- 시간 기반 쿼리 (예: "어제의 대시보드")
- 취소/재실행 워크플로우
- 블록체인:
- 신뢰 부족 환경 (예: NFT 소유권 추적)
- 검열 저항성 (예: 활동가 아카이브)
- 자산 소유권 (예: 토지 권리, IP 권리)
3. 성능 및 비용 비교
| 항목 | 이벤트 소싱 | 블록체인 |
|------|-------------|----------|
| 권한 | 중앙 집중형 (DB) | 분산형 |
| 성능 | 100K+ 이벤트/초 | 3~100 TPS (체인에 따라 다름) |
| 저장 비용 | DB 저장 비용 | 글로벌 복제 비용 (높음) |
| 데이터 보안 | 기본적으로 사생활 보호 | 기본적으로 공개 |
4. 실무 적용 예시
- 이벤트 소싱:
```python
events = EventStore.for(order_id).up_to("2023-05-10")
PricingCalculator.replay(events) # 수학 오류 추적
```
- 블록체인:
```solidity
function transfer(address to, uint256 tokenId) public {
require(ownerOf(tokenId) == msg.sender);
_transfer(msg.sender, to, tokenId); // 불변 기록
}
```
5. 주의사항 및 오용 예
- 블록체인을 데이터베이스로 사용:
- 10,000 RPM 쓰기 시 비용 폭증 (운영팀 반발 유발)
- 이벤트 소싱의 개인정보 보호 무시:
- GDPR 요청 처리 시 삭제/마스킹 불가능
- 과도한 기술적 복잡성:
- 모든 앱에 불변성 증명 필요는 아님
6. 선택 시 고려사항
- 분산형 필요 여부: 필요하지 않다면 이벤트 소싱이 경제적
- 가스비 부담자: 운영팀이 가스비를 지불해야 함
- 대체 가능성: 암호화된 이벤트 저장소가 충분히 사용 가능
결론
- 이벤트 소싱은 내부 시스템의 고성능, 저비용 관리에 적합
- 블록체인은 다중 당사자 간 신뢰 부족 환경에서의 불변성 보장이 필수적
- 비용/성능/보안 요구사항에 따라 선택, 기본적인 이벤트 저장소로 충분한 경우 블록체인 사용은 피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