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tAPI Depends()로 의존성 주입 완벽 가이드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FastAPI에서 `Depends()`를 활용한 의존성 주입 마스터하기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FastAPI를 사용하는 백엔드 개발자, API 설계자

난이도: 중급 (의존성 주입 개념 이해 필수)

핵심 요약

  • Depends()를 통해 API 키 검증, 페이징 로직, 데이터베이스 세션 등 공통 로직을 재사용 가능하게 주입할 수 있음
  • Header와 결합해 헤더 기반 인증을 구현할 수 있고, 쿼리 파라미터를 의존성으로 활용해 중복 코드 제거 가능
  • Depends()FastAPI가 자동으로 실행하고, 반환 값을 주입코드 가독성과 유지보수성 향상

섹션별 세부 요약

1. 의존성 주입이란?

  • 의존성 주입은 공통 로직을 한 번 정의해 여러 라우트에서 재사용하는 패턴
  • 예: API 키 검증이나 페이징 로직Depends()로 주입하면 중복 코드 제거 가능
  • FastAPI에서 Depends()의존성 함수를 자동으로 실행하고, 반환 값을 주입해 개발자에게 투명하게 처리

2. `Depends()` 사용 예시: API 키 검증

  • Header와 결합해 헤더에서 API 키 검증
  • ```python

def verify_api_key(x_api_key: str = Header(...)):

if x_api_key != "mysecret":

raise HTTPException(status_code=401, detail="Invalid API Key")

```

  • Depends(verify_api_key)를 통해 인증 로직을 라우트에 주입
  • 인증 실패 시 401 에러 반환

3. `Depends()` 사용 예시: 페이징 로직

  • skiplimit 쿼리 파라미터를 의존성 함수로 추출
  • ```python

def pagination(skip: int = 0, limit: int = 10):

return {"skip": skip, "limit": limit}

```

  • Depends(pagination)을 통해 페이징 로직을 라우트에 주입
  • 중복된 쿼리 파라미터 정의 제거

4. `Depends()`의 주요 활용 사례

  • API 키 인증: Header + Depends()헤더 기반 인증
  • 페이징: skip/limit 파라미터를 의존성으로 재사용
  • 데이터베이스 세션: SQLAlchemy를 활용해 세션 주입
  • 로그/메트릭: 모든 요청을 기록하는 공통 로직 주입
  • 사용자 인증: JWT 또는 세션 기반 현재 사용자 추출

결론

  • Depends()를 통해 공통 로직을 모듈화하고 재사용코드 중복 제거
  • API 키 검증페이징 로직 등 실무에서 자주 사용되는 예시를 참고하여 의존성 주입 패턴 적용
  • FastAPI의 의존성 주입 기능을 활용하면, 보안성, 유지보수성, 코드 품질이 동시에 향상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