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제목

Beyond Express: Fastify vs. Hono – Which Wins for High-Throughput APIs?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대상자: 고성능 API 개발자, Node.js 기반 서버리스/엣지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 난이도: 중간 (성능 최적화, 프레임워크 선택 기준 이해 필요)

핵심 요약

  • Fastify
  • JSON 시리얼라이제이션 2x 빠름 (req.body 최적화)
  • 스키마 기반 검증으로 미들웨어 오버헤드 감소
  • 40% CPU 사용량 감소 (Express 대비)
  • Hono
  • 엣지 런타임 최적화 (Cloudflare Workers 지원)
  • 120ms 콜드 스타트 (Express 대비 5x 빠름)
  • 18MB 메모리 사용량 (Express 대비 65% 절감)
  • Express
  • 8,000 RPS (스케일링 시 성능 한계)
  • JSON 파싱 12% CPU 소모 (성능 병목)

섹션별 세부 요약

1. 문제 상황: Express의 성능 한계

  • 월간 트래픽 10x 증가로 8,000 RPS 시 지연 발생
  • JSON 파싱만으로 12% CPU 소모
  • 미들웨어 오버헤드로 요청당 5ms 지연

2. Fastify의 성능 개선

  • 스키마 기반 검증으로 JSON 파싱 시간 감소
  • req.body 자동 검증 및 최적화
  • 내장 로깅/트레이싱으로 디버깅 효율성 향상
  • 22,000 RPS 달성 (Express 대비 2.75x 성능 향상)

3. Hono의 엣지 최적화

  • 엣지 런타임 지원 (Cloudflare Workers, Deno)
  • 120ms 콜드 스타트 (Express 대비 3.75x 빠름)
  • 18MB 메모리 사용량 (Express 대비 85% 절감)

4. 프레임워크 선택 전략

  • Fastify: JSON 중심 API, 검증 필요성 높은 경우
  • Hono: 엣지/서버리스 환경, 메모리 제약 있는 경우
  • Express: 소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만 유지 권장

결론

  • FastifyHono 병행 사용으로 3x 처리량 증가60% 클라우드 비용 절감
  • Fastify: 메인 API (JSON 처리)
  • Hono: 엣지 캐싱 (지리 분산 로직)
  • 성능 테스트: Fastify Benchmarks, Hono Docs 참조
  • 프레임워크 선택 시 고려사항:
  • Fastify: Type-safe validation, JSON 최적화
  • Hono: Edge runtime, Zero-dependency (콜드 스타트 성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