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으로 간 리서처 EP1. 커피값은 저희가 낼게요, 테스트 참여 해보실래요?
카테고리
디자인
서브카테고리
UX 디자인
대상자 대상자_정보
- UX 디자이너, 제품 디자이너, 사용자 경험 리서처
- 난이도: 중간 (실무적 사례 중심, UX 테스트 설계 및 분석 전략 공유)
핵심 요약
- 오프라인 환경에서의 UX 테스트는 인위적 환경에서 얻기 어려운 생생한 사용자 반응을 제공
- 3가지 시안 비교 결과: 심플한 인터랙션 중심의 디자인(시안1)이 할인 정보 인지도와 사용자 행동 유도에 효과적
- 화려한 UI(시안2)는 정보 전달 방해, 익숙한 흐름(시안3)은 혼란 유발 가능성 있음
섹션별 세부 요약
1. 문제 정의 및 가설 설정
- 토스플레이스 단말기 "프론트"의 결제 과정에서 카드 할인 정보 전달 효율성 테스트 필요
- 가설: 결제 과정에서 할인 정보를 자연스럽게 노출하면 사용자 행동 유도 및 인지율 향상 가능
2. 테스트 환경 및 설계
- 진짜 매장(심플리시티 카페)에서 실시간 테스트 진행 (UT룸 대신 실제 환경 활용)
- 3가지 시안 비교:
- 시안1: 심플한 인터랙션
- 시안2: 애니메이션 중심 화려한 인터랙션
- 시안3: 온라인 이커머스 유사한 퍼널 구조
3. 테스트 결과 및 분석
- 시안1: 할인 정보 반복 노출로 인지율 높음, 사용자 행동 유도 효과 있음
- 시안2: 내부 테스트 성공적이었으나 실제 환경에서 "복잡하다"는 피드백 다수
- 시안3: 익숙한 흐름으로 이해 쉬움, 하지만 클릭 요구로 혼란 유발
4. 결론 및 핵심 통찰
- 오프라인 리서치는 사용자 '진짜 반응'을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
- UI 복잡도와 정보 전달 효율성 간 균형 유지 필요 (예: 시안1의 심플성 vs 시안2의 복잡성)
결론
- 오프라인 제품 테스트는 반드시 실제 환경에서 진행해야 인사이트 확보 가능
- 사용자 행동 유도를 위한 UI 설계: 단순성과 정보 전달의 균형 (예: 할인 정보 반복 노출, 익숙한 흐름의 클릭 최소화)
- 실무 적용 팁: 테스트 시 다양한 상황(혼자, 그룹, 급한 결제 등)을 고려한 시나리오 구성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