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시대 디자이너의 변화: 피그마 CPO의 전략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디자이너 역할 바뀐다” 한국 진출 본격화한 피그마 CPO가 말하는 AI 시대 디자이너는?

카테고리

디자인

서브카테고리

UX 디자인

대상자 대상자_정보 출력

  • 디자이너, 개발자, 마케터, 기획자
  • 난이도: 중간~고급 (AI 도구 활용 및 디자인 전략 이해 필요)

핵심 요약

  • 피그마의 한국 시장 확대 전략: 2025년 한국어 지원 강화, 4종 신규 기능(피그마 메이크, 피그마 사이트, 피그마 드로우, 피그마 버즈) 출시
  • AI 시대 디자이너의 역할 변화: 픽셀 수준 작업 대신 전략적 의사결정에 집중, "What if?" 질문을 통한 창의성 강조
  • 올인원 플랫폼 도약: 디자인 → 프로토타이핑 → 퍼블리싱 → 마케팅까지 한 플랫폼에서 작업 흐름 통합

섹션별 세부 요약

1. 피그마가 바라보는 한국 시장

  • 한국 사용자 규모: 1년간 하루 평균 75,000개 이상 디자인 파일 생성(총 400만 개 이상)
  • 지역 맞춤형 전략: 한글 타이포그래피 특성 반영한 로컬라이징, 한국어 기반 영업/마케팅 팀 확대
  • 국내 앱 활용 사례: 카카오뱅크, 당근, 강남언니 등 주요 앱에서 피그마 사용 확대

2. 올인원 플랫폼 도약 준비하는 피그마

  • 2024년 4분기 기준: 3분의 2 사용자가 비디자이너(마케터, 개발자 등)
  • 신규 기능 소개:
  • 피그마 메이크: 프롬프트 → 자동 프로토타입 생성
  • 피그마 사이트: 코딩 없이 웹사이트 제작/배포
  • 피그마 드로우: 고급 벡터 드로잉 기능
  • 피그마 버즈: 브랜드 에셋 자동 생성
  • 전략적 목표: 아이디어 → 디자인 → 개발 → 마케팅 전 과정 통합

3. AI 시대, 피그마가 바라보는 디자이너와 디자인

  • AI의 역할: 작업 지시 실행에 강점, 디자이너의 전략적 판단 필요
  • 디자이너의 역할 변화: 상위 레벨 의사결정(제품 방향성, 문제 정의)에 집중
  • AI와의 협업 전략: "What if?" 질문을 통해 창의성 강화, 사용자 경험(UX) 전략적 접근

결론

  • 실무 적용 팁: AI 도구를 활용해 반복적 작업 자동화, 디자이너는 전략적 의사결정에 집중
  • 핵심 전략: 피그마의 올인원 플랫폼 활용으로 팀 간 협업 효율성 향상
  • 예시: 피그마 메이크로 프로토타입 생성 → 피그마 사이트로 웹사이트 배포 → 피그마 버즈로 마케팅 자동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