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시스템 개발자의 시선에서 본 Figma 신제품 분석 (Config 2025)
카테고리
디자인
서브카테고리
디자인 툴
대상자
디자인시스템 개발자, UI/UX 디자이너, 웹 개발자
핵심 요약
- Grid: 반응형 레이아웃 생성을 위한 Auto Layout의 신규 옵션으로, CSS와 연동한 핸드오프 기능 제공
- Figma Sites: 웹사이트 디자인-프로토타입-배포까지 Figma 내에서 수행 가능, 접근성 문제와 코드 관리 부족 지적
- Figma Make: AI 기반 프로토타입 생성 도구로, 디자인 요소 맥락 활용과 코드 편집 가능성 강조
섹션별 세부 요약
1. Grid
- 2차원 레이아웃 생성 가능, 행/열 조정, 고정 트랙 크기 설정 기능 제공
- 특정 셀/행/열 선택 및 복사 기능 미비, 컨텐츠 기반 자동 크기 조정 기능 부족
- CSS Codegen 지원으로 디자인-개발 핸드오프 효율성 향상
2. Figma Sites
- 반응형 웹사이트 디자인 및 배포 기능 제공, 템플릿/자산/인터랙션 지원
- 접근성 문제 (시맨틱 구조 미준수,
aria-label
누락) 및 커스텀 트랜지션 관리 기능 미비 - CMS 및 Code Layer 기능 출시 예정, 외부 통합 가능성 미명확
3. Figma Make
- AI 기반 프로토타입 생성 도구로, 디자인 복사-붙여넣기 및 프롬프트 기반 수정 지원
- 코드 편집 기능 제공, 하지만 데이터 fetching 및 상태 관리 구현 복잡성 지적
- 레이어 이름/구조/모션 설정 자동화 기능 미비, AI 생성 결과물 품질 우려
4. Figma Buzz
- 브랜드 에셋 관리 및 템플릿 공유 기능 제공, CSV/XLSX 데이터 기반 에셋 생성 지원
- 다양한 기기/광고 형식 대응 에셋 생성 필요성 강조, AI 기반 자동 배치 기능 기대
5. Figma Draw
- 일러스트레이션 도구 강화, 벡터 편집, 텍스트 경로, 패턴 채우기 등 기능 추가
- 디자인 시스템 개발자 대상 피드백 게시판 링크 제공, 실용성 미비 지적
결론
- Grid와 Figma Sites는 반응형 디자인의 효율성을 높이지만, 접근성과 코드 통합 개선 필요
- Figma Make는 AI 기반 프로토타입 생성 가능성이 있으나, 디자인 시스템과의 연동 및 코드 품질 확보가 관건
- Figma Buzz는 마케팅 에셋 생성에 유용하나, 다양한 사이즈/형식 대응 기능 강화 필요
- Figma Draw는 일러스트 작업 지원 기능 확장이 요구되며, 디자인 시스템 개발자 피드백 반영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