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머신러닝 이미지 분류기 구축 가이드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이미지 분류를 위한 첫 번째 머신러닝 분류기 구축

카테고리

  • *데이터 과학/AI**

서브카테고리

  • *이미지 분류**

대상자

  • 초보 개발자 및 데이터 과학자
  • 기초적인 머신러닝/딥러닝 지식을 가진 사람
  • 실무 적용 중심의 간단한 예제 학습을 원하는 사람

핵심 요약

  • 이미지 분류 문제는 이진 분류 (Binary Classification)로 정의 (예: "강아지" vs "아니오")
  • 전이 학습 (Transfer Learning)을 활용한 CNN 모델 구축 (예: ResNet-18 활용)
  • 데이터 정제 및 평가 지표 (정확도, F1, 혼동행렬) 기반 모델 평가

섹션별 세부 요약

1. 문제 정의 및 분류 유형

  • 분류 문제는 이진 분류 (예: 강아지/아니오) 또는 다중 분류 (예: 강아지/고양이/사자)로 구분
  • 레이블의 모호성오류에 대한 우선순위를 명확히 해야 함

2. 데이터 준비 및 전처리

  • Stanford Dogs Dataset 또는 Kaggle Dogs vs. Cats와 같은 데이터셋 사용
  • 이미지 정규화, 크기 조정, 데이터 불균형 방지 (70% Train, 15% Validation, 15% Test)
  • 데이터 품질이 모델 성능에 직접적 영향 (예: "Bad data beats good models")

3. 모델 선택 및 구현

  • CNN (ResNet-18) 활용, 최종 레이어 수정 (model.fc = nn.Linear(..., 1))
  • 이진 교차 엔트로피 손실 (Binary Cross-Entropy Loss), Adam 최적화기 (lr=1e-4), 배치 크기 32/64
  • PyTorch 코드 예제:
  • import torchvision.models as models
    model = models.resnet18(pretrained=True)
    model.fc = nn.Linear(model.fc.in_features, 1)

4. 모델 평가 및 최적화

  • 정확도보다 혼동행렬, F1, Precision/Recall 분석을 통해 모델 이해
  • 테스트 세트에 특이 사례 추가 (예: 강아지 옷, 흐린 이미지)
  • 조기 중단 (Early Stopping) 및 최적 모델 저장

5. 모델 배포 및 서비스화

  • FastAPI를 활용한 웹 API 구축 (/predict 엔드포인트)
  • 예제 요청/응답:
  • "input": "dog.jpg"
    "output": {"class": "dog", "confidence": 0.94}
  • Docker로 컨테이너화 및 로깅 추가

6. 머신러닝 핵심 원칙

  • "모든 모델은 잘못되지만, 일부는 유용하다" → 실용성 중심의 모델 설계
  • 데이터 정제는 모델 성능에 직접적 영향 (예: "Bad data beats good models")

결론

  • 이미지 분류는 데이터 준비 → 모델 설계 → 평가 → 배포의 순서로 접근
  • 전이 학습 (Transfer Learning)과 FastAPI 활용으로 실무 적용 가능
  • 모델 평가 시 정확도보다 F1, 혼동행렬 분석을 통해 성능 향상
  • Docker를 통한 서비스화로 확장성과 안정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