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ask 기반 유전자 알고리즘으로 진화하는 웹 앱 개발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Flask 및 Python을 활용한 동적 웹 앱 개발자
- 유전자 알고리즘(GA) 및 진화 시스템 설계에 관심 있는 개발자
- 게임화된 경험, ARG(Alternate Reality Game), 프로그레시브 학습 시스템 개발자
- 난이도: 중급~고급 (Flask, JSON, 진화 알고리즘 기초 지식 필요)
핵심 요약
- EvoApp은 사용자 행동에 따라 라우트와 응답을 진화 시키는 Flask 앱.
- JSON 기반 유전자(
genome
)로 라우트의 사용량, 적합도, 돌연변이 기록 관리. - 백그라운드
mutation_engine.py
로 10분 간격으로 라우트 진화 시도 (예:split_response
,absorb
등). - 모듈화된 라우트 파일(예:
routes/explore.py
)을 동적으로 로드하여 재시작 없이 변경 가능.
섹션별 세부 요약
1. EvoApp 개념
- 기존 웹 앱의 한계: UI 적응만 지원, 백엔드는 정적.
- 진화 기반 시스템: 사용자 행동에 따라 라우트가 자체적으로 분기, 병합, 삭제.
- 예시:
/explore
→/explore/a
,/explore/b
로 분기.
2. 유전자 알고리즘 구현
- 유전자 구조:
```json
{"name":"explore","visits":24,"fitness":0.87,"mutations":["split_response","add_branch"]}
```
- 적합도 계산: 라우트 사용량, 이탈률, 사용 빈도에 따라
fitness
점수 부여. - 돌연변이 유형:
- split_response
: 새로운 라우트 생성
- decay
: 사용되지 않은 라우트 비활성화
- absorb
: 저유동성 라우트 병합
3. mutation_engine.py 작동 방식
def mutate_route(route_data):
if route_data['visits'] > 50 and route_data['fitness'] > 0.8:
create_new_branch(route_data['name'])
elif time_since_last_visit(route_data) > 3 hours:
disable_route(route_data['name'])
- 10분 주기로 백그라운드 작업 실행.
- 동적 모듈 로딩:
routes/
폴더 내.py
파일을import
하여 변경사항 적용.
4. 실제 배포 결과
- 24시간 동안 테스트 결과:
- /explore
→ /explore/a
, /explore/b
분기
- /submit
→ 폼 대신 "This form has expired." 메시지
- 새로운 라우트 /mystery
생성 (사용자 출처 불명)
- 진화 시스템의 자율성: 개발자가 직접 코딩하지 않고도 라우트가 자체적으로 진화.
5. 확장 및 안전성 고려사항
- 제한된 영역 적용: 인증, DB 레이어는 절대 돌연변이 금지.
- 버전 관리: Git 스냅샷으로 돌연변이 기록.
- 안전한 실행: 위험한 로직은 샌드박스로 격리.
결론
- EvoApp의 핵심 팁:
- 모듈화된 routes/*.py
파일 사용 (예: routes/explore.py
)
- llama.cpp
같은 로컬 LLM으로 돌연변이 제안
- 사용자 투표 시스템으로 라우트 변경 승인/거부 가능
- 자체 생성 API 개발 (트래픽 패턴 기반)
- 진화 시스템의 가능성:
- 개발자 능력에 따른 온보딩 흐름 자동 조정
- 사용자 빈도에 따라 문서 사이트 재구성
- 유기적 개발 방식으로 정적 코드에서 벗어나 생명체처럼 진화하는 앱 개발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