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utter 아키텍처 패턴 설명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앱 개발
대상자
Flutter 개발자 및 중간 이상의 소프트웨어 개발자
핵심 요약
- Flutter의 아키텍처 패턴은 유지보수성, 확장성, 테스트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필수적
Provider
는 단순한 UI 상태 관리에 적합하며,Riverpod
은 컴파일 타임 안전성과 복잡한 의존성 제어를 제공BLoC
은 비동기 처리와 업무 로직 분리에 강점,GetX
는 빠른 프로토타이핑과 전체적인 상태/라우팅 관리를 지원- 각 패턴은 프로젝트의 복잡도, 팀 규모, 테스트 요구사항에 따라 선택
섹션별 세부 요약
1. 아키텍처 패턴의 중요성
- 유지보수성: 관심사 분리로 코드 수정 시 부작용 최소화
- 확장성: 복잡한 기능 추가 시 구조적 안정성 확보
- 테스트 가능성: 명확한 인터페이스로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 용이
- 팀 협업: 일관된 코드 구조로 개발자 간 협업 효율성 향상
2. Provider 패턴
ChangeNotifier
: 데이터 변경 시 리스너에게 알림ChangeNotifierProvider
: 위젯 트리에ChangeNotifier
인스턴스 제공- 사용 시점: UI 상태 관리(버튼 토글, 모달 표시) 및 단순 데이터 공유
- 예시:
CounterModel
과Consumer
를 사용한 상태 관리
3. Riverpod 패턴
- 컴파일 타임 안전성: 제네릭 타입과 컴파일 체크로 런타임 오류 감소
- 독립 스코프:
Provider
범위를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부분에 제한 - 사용 시점: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비동기 작업, 테스트 요구사항이 높은 프로젝트
- 예시:
StateProvider
를 사용한 카운터 관리
4. BLoC 패턴
- 이벤트-상태 구조: UI 이벤트를 이벤트로 처리, 상태를 통해 UI 업데이트
- 스트림 사용: BLoC에서 UI로의 일방향 데이터 흐름
- 사용 시점: 복잡한 비동기 작업, 업무 로직 분리가 필수적인 경우
- 예시:
CounterBloc
을 사용한 이벤트 처리와 상태 전환
5. GetX 패턴
Obx
:Rx
관찰 가능 변수 변경 시 위젯 자동 리빌드- 컨트롤러: 상태와 업무 로직을 포함하는
GetxController
기반 클래스 - 의존성 주입:
Get.put()
과Get.find()
로 간단한 주입 - 사용 시점: 빠른 프로토타이핑, 상태/라우팅 관리가 필요한 경우
결론
- 프로젝트 복잡도에 따라 패턴 선택:
Provider
는 간단한 UI 상태,Riverpod
은 안전성,BLoC
은 비동기,GetX
는 빠른 개발에 적합 - 테스트 가능성과 확장성 고려:
BLoC
과Riverpod
은 테스트 편의성에서 우위 - 팀 규모와 협업 흐름: 일관된 코드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 공식 권장 패턴(예:
Provider
)을 선택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