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임워크 없는 웹 개발 - Part 1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프레임워크 최소화를 원하는 개발자, 성능 최적화에 관심 있는 개발자
핵심 요약
- 프레임워크 없는 접근법은 복잡성 줄이고 성능 개선을 목표로 함
- 신호(Signal) 기반의 반응성은 프레임워크 없이도 구현 가능 (예:
type Signal
코드) - Vite/BunJS 활용으로 프레임워크 없는 개발 환경 구축 가능
섹션별 세부 요약
1. 프레임워크의 문제점과 접근법
-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의 과도한 추상화로 인한 성능 저하
- React의 컴포넌트 기반 설계가 vanillaJS에서도 적용 가능
- 예시:
HelloWorld()
함수를 통해 템플릿 기반 컴포넌트 생성
2. 반응성 구현: 신호(Signal) 기반 접근
- 신호는 값과 구독자 목록으로 구성된 객체 (
type Signal
) - 클릭 이벤트 시
counter.value
자동 업데이트 예시 코드 제공 - 개발자가 직접 상태 관리 및 업데이트 제어 가능
3. 도구 활용: Vite/BunJS로 프로젝트 구조화
- Vite/BunJS를 통해 파일/컴포넌트 관리 및 빌드 자동화 가능
- 프레임워크 없는 환경에서도 모듈화와 빌드 최적화 가능
4. 미래 주제: 서버 렌더링, 라이브러리 개발
- 서버 렌더링, 외부 라이브러리 사용, UI 라이브러리 개발 및 NPM 배포 예정
- 프레임워크 없는 환경에서도 고급 기능 구현 가능
결론
- 프레임워크 없는 개발은 코드 최소화와 성능 향상에 유리하며, 신호 기반 반응성과 Vite/BunJS 활용으로 실용적입니다.
- 추후 서버 렌더링 및 UI 라이브러리 개발 주제를 통해 더 많은 기술적 접근법을 공유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