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기본 사용법: 초보자를 위한 단계별 가이드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DevOps
대상자
소프트웨어 개발 초보자 및 Git 도입자 (기초 수준)
핵심 요약
- Git 설치 및 초기 설정:
git --version
,git config --global
명령어로 설치 및 사용자 정보 설정 - 작업 흐름:
git add
,git commit
으로 변경사항을 staging 및 commit - 브랜치 및 병합:
git branch
,git merge
로 기능 개발 분리 및 병합 - 원격 저장소 연동:
git remote add
,git push
,git pull
로 협업 및 변경사항 동기화
섹션별 세부 요약
1. 설치
- 운영체제별 설치 방법 제공 (Windows, macOS, Linux)
- 설치 확인 명령어:
git --version
2. 초기 설정
- 사용자 이름 및 이메일 설정:
```bash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
- 설정 확인:
git config --list
3. 저장소 생성
- 디렉토리 생성 및 초기화:
```bash
mkdir my_first_git_project
cd my_first_git_project
git init
```
.git
디렉토리 생성 확인
4. 기본 작업 흐름
- 파일 생성 및 상태 확인:
git status
- 변경사항 staging:
git add README.md
- Commit:
```bash
git commit -m "메시지"
```
5. 커밋 기록 보기
git log
명령어로 커밋 내역 확인q
입력으로 종료
6. 수정 및 재커밋
- 파일 수정 후
git add
,git commit
재실행 - 커밋 기록 확인:
git log
7. 브랜치 이해 및 생성
- 브랜치 목록 확인:
git branch
- 브랜치 생성 및 전환:
```bash
git branch feature/new-page
git checkout feature/new-page
```
8. 브랜치 작업 및 병합
- 새 파일 추가 및 커밋:
git add new_page.txt
,git commit
- 메인 브랜치로 전환 후 병합:
```bash
git checkout main
git merge feature/new-page
```
9. 원격 저장소 클론
- GitHub 등 저장소 클론:
```bash
git clone https://github.com/username/repo.git
```
10. 원격 저장소 연동 (Push/Pull)
- 원격 저장소 연결:
```bash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username/repo.git
```
- 변경사항 업로드:
git push -u origin main
- 변경사항 동기화:
git pull origin main
11. 변경사항 되돌리기
- 스테이징 영역 변경사항 되돌리기:
git reset HEAD 파일명
- 로컬 변경사항 삭제:
git checkout -- 파일명
결론
- 실무 적용 팁: Git은 협업 및 버전 관리의 핵심 도구로, 규칙적인 사용과 실습이 필수적
- 추천 사항: 복잡한 작업 시
git stash
,git reflog
,git rebase
등 고급 명령어 활용 - 핵심: 초기 설정과 기본 명령어를 정확히 이해한 후, 실무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점차 고급 기능 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