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 깃허브 기본
분야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대상자
프로젝트 협업 또는 해커톤 참여를 고려하는 개발자, 깃/깃허브 기초 개념을 학습하는 초보자
난이도: 초보자 수준의 개념 이해 및 기본 명령어 활용
핵심 요약
- *깃은 소스코드의 버전 관리를 위한 버전 제어 시스템(VCS)로, 변경 이력 추적, 충돌 관리, 릴리즈 관리, 백업** 기능을 제공합니다.
- *깃허브는 깃을 기반으로 한 온라인 플랫폼으로, 협업, 코드 공유, 웹 호스팅** 기능을 제공합니다.
- *브랜치 전략**은
main
(배포용),develop
(테스트 완료),feature
(개인 작업)으로 구분하여 코드 관리를 권장합니다. - *커밋 메시지**는
feat:
(기능 추가),fix:
(버그 수정) 형식으로 명확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섹션별 세부 요약
- 깃 vs 깃허브 개념 설명
- 깃: 소스코드 버전 관리 도구로, 변경 이력 추적 및 롤백 기능 제공
- 깃허브: 깃 기반의 온라인 플랫폼으로, 코드 공유, 협업, 웹 호스팅 기능 제공
- 협업 편의성: 파일 복사/메일 전송 대신 깃허브를 통해 팀원과 코드 공유 가능
- 깃의 주요 장점
- 버전 관리: 코드 수정 사항 추적 및 이전 버전으로 롤백 가능
- 충돌 관리: 다수 개발자 동시 작업 시 충돌 방지 및 해결
- 릴리즈 관리: 버전 태깅으로 배포 전후 코드 분리 가능
- 백업: 원격 저장소를 통한 안정적인 코드 보호
- 브랜치 전략 및 협업 흐름
- 브랜치 구분:
- main
: 배포 전 최종 코드 저장
- develop
: 테스트 완료 코드 저장
- feature
: 개별 개발자 작업용 브랜치
- PR(merge 요청):
- feature
브랜치의 코드를 develop
로 통합하는 과정
- 팀원 검토 후 merge
로 통합하여 배포 전 코드로 이동
- 기본 명령어 및 사용법
- 저장소 연결:
```bash
git remote add origin 깃허브주소
```
- 커밋 및 푸시:
```bash
git commit -m "feat: 장바구니 기능 추가"
git push origin 브랜치명
```
- 코드 동기화:
```bash
git pull origin 브랜치명
```
- 미포함 파일 관리:
.gitignore
파일로 API 키 등 민감 정보 제외
결론
깃은 소스코드 버전 관리에 필수적인 도구이며, 깃허브는 협업을 위한 플랫폼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브랜치 전략을 철저히 적용해 코드 관리 효율성을 높이고, 명확한 커밋 메시지와 .gitignore를 통해 협업 시 오류를 최소화해야 합니다. 실무에서는 main
브랜치에만 최종 배포 전 코드를 저장하고, PR
을 통해 테스트 완료 코드를 통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