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학습을 통해 배운 점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개발 툴
대상자
초보 개발자 및 협업이 필요한 팀원들에게 유용합니다. Git 기본 개념과 협업 흐름 이해에 초점
핵심 요약
- 포크(Forking): 다른 사람의 저장소를 복사하여 기여 가능
- 풀리퀘스트(Pull Request): 변경 사항을 원본 저장소에 제안하며 협업 흐름 구축
- 머지 컨플릭트(Merge Conflicts): 브랜치 간 충돌 발생 시 수동 해결 필요
- 필수 명령어:
git init
,git pull
,git push
등으로 작업 흐름 관리
섹션별 세부 요약
1. **포크(Forking)**
- 개인 저장소 복사로 원본 저장소 변경 방지
- 기여자와 원본 프로젝트 간 분리된 작업 환경 제공
2. **협업(Collaboration)**
- 다중 기여자 간 코드 클론, 커밋, 푸시 가능
- 협업 팀 내 변경 사항 공유 및 검토 절차 구현
3. **풀리퀘스트(Pull Request)**
- 포크된 저장소에서 원본으로 변경 제안
- 팀원이 변경 사항 검토 후 병합 가능
4. **머지 컨플릭트(Merge Conflicts)**
- 동일 파일에 대한 변경이 충돌 시 Git 자동 병합 불가
- 수동으로 충돌 부분 확인 및 선택적 병합 필요
5. **코드 리뷰(Code Review)**
- 코드 품질 개선, 버그 발견, 표준 준수 확인
- 팀 내 협업 효율성과 코드 일관성 강화
6. **GitHub 이슈(GitHub Issues)**
- 버그, 기능 요청, 작업 추적에 사용
- 프로젝트 관리 및 진척 상황 시각화 도구
7. **Git 명령어**
git init
: 새 저장소 초기화git pull
: 원격 저장소 최신 변경 다운로드git push
: 로컬 변경 사항 원격 저장소에 업로드
8. **변경사항 푸시(Pushing Changes)**
- 로컬 커밋 후
git push origin
명령어로 GitHub에 업로드 - 원격 저장소와 로컬 작업 동기화 보장
결론
git push origin
명령어는 로컬 작업을 GitHub에 반영하는 필수 단계- 협업 시 풀리퀘스트와 코드 리뷰를 통해 품질 관리
- 머지 컨플릭트 발생 시 즉시 해결하여 팀 협업 방해 최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