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rm --cached 명령어 사용법: 스테이징 영역에서 파일 제거하기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개발 툴
대상자
- 초급~중급 개발자
- Git 버전 관리에 익숙한 사용자
- 스테이징 영역 오류 수정이 필요한 경우
핵심 요약
git rm --cached
명령어는 스테이징 영역(index)에서 파일을 제거하지만 로컬 작업 디렉터리의 파일은 그대로 보존- 스테이징 실수(예:
git add
오류) 시 파일을 추적에서 제외하는 용도 - 버전 관리에서 파일을 제거하면서 로컬 파일을 삭제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
섹션별 세부 요약
1. 명령어 기능
git rm --cached <파일명>
은 Git 인덱스에서 파일을 삭제- 로컬 파일 시스템의 파일은 삭제되지 않음
- 추적 중이던 파일을 추적에서 제외하는 효과
2. 사용 시나리오
- 스테이징 실수 시 파일을 제거
- 로컬에 유지하면서 버전 관리에서 제외
- 코드베이스에서 파일을 제거해야 하지만 로컬에서 보존해야 할 경우
3. 주의사항
--cached
플래그가 없으면 로컬 파일도 삭제됨git status
로 변경 사항 확인 후 실행 권장- 추적 중이지 않은 파일은
git rm
명령어에 영향 없음
결론
- 스테이징 실수 시
git rm --cached
사용이 안전한 방법 git status
확인 후 명령어 실행하여 오류 방지- 로컬 파일 보존이 필요한 경우 반드시
--cached
플래그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