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깃허브 부트캠프: 2일차 - 깃허브 설정 가이드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웹 개발 초보자, 버전 관리 도구 사용자

난이도: 기초 수준 (깃허브 계정 생성 및 기본 명령어 사용)

핵심 요약

  • 깃허브 계정 생성: 메모리에 남는 사용자명, 이메일, 암호 입력 후 무료 플랜 선택
  • 저장소(repository) 생성: New repository를 통해 awesome-project와 같은 이름의 저장소 생성
  • 깃 설치 및 초기화: git init, git add ., git commit 등의 명령어로 로컬 프로젝트를 깃허브에 업로드

섹션별 세부 요약

1. 깃허브 계정 설정

  • 사용자명, 이메일, 암호 입력
  • 무료 플랜 선택으로 계정 생성
  • 계정 생성 후 웰컴 메시지 표시

2. 저장소(repository) 생성

  • + 버튼 클릭 → New repository 선택
  • 저장소 이름(awesome-project)과 설명 입력
  • 공개/비공개 설정 및 README 파일 추가 여부 선택
  • Create repository 클릭 후 저장소 생성

3. 깃(Git) 설치 및 설정

  • Windows: Git 다운로드
  • macOS: brew install git
  • Linux: sudo apt install git
  • Git 사용자 이름 및 이메일 설정:

```bash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 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email.com"

```

4. 로컬 프로젝트 업로드

  • 프로젝트 폴더(hello-github) 이동
  • git init, git add ., git commit 명령어로 변경사항 저장
  • 원격 저장소(origin) 연결 및 git push로 깃허브에 푸시

5. 깃허브 저장소 기능

  • README.md: 저장소 소개 파일
  • Commits Tab: 코드 변경 이력 보기
  • Branches: 병합 작업을 위한 분기 관리

6. 주요 깃 명령어

| 명령어 | 설명 |

|---|---|

| git status | 현재 작업 상태 확인 |

| git add . | 모든 변경사항 스테이징 |

| git commit -m "message" | 변경사항 커밋 |

| git push | 깃허브에 변경사항 업로드 |

| git pull | 깃허브의 최신 코드 동기화 |

결론

  • 다음 날차 주제: 브랜칭 및 머징 작업
  • 실무 팁: git commit 메시지 작성 시 명확한 목적을 명시하고, README.md에 프로젝트 소개를 간결하게 작성하세요.
  • 핵심 구현 방법: git push 명령어를 통해 로컬 코드를 깃허브에 실시간으로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