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Hub MCP with Amazon Q CLI Guide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GitHub MCP with Amazon Q CLI

분야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대상자

GitHub과 CLI 도구를 사용하는 개발자, 자동화된 프로젝트 온보딩 및 협업을 구현하려는 팀

난이도: 중급 (Docker 및 CLI 기초 지식 필요)

핵심 요약

  • *MCP (Machine-Driven Collaboration Protocol)**를 활용해 GitHub과 Amazon Q CLI를 연동하여 Next.js 앱을 자동화된 방식으로 온보딩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docker를 사용해 GitHub MCP 서버를 실행하고, GitHub Personal Access Token을 통해 리포지토리 생성 및 파일 푸시를 자동화합니다.
  • create_repository, push_files, execute_bash 등의 도구를 활용해 코드 실행 및 수정을 지원합니다.
  • /tools 명령어로 MCP 도구를 확인하고, /quit 또는 /exit로 CLI 세션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

섹션별 세부 요약

1. Amazon Q CLI 설치 및 MCP 구성

  • brew install amazon-q로 Amazon Q CLI를 설치하고, 런처에서 Q를 열어 CLI와 연동합니다.
  • mcp.json 파일에 GitHub MCP 서버 구성 정보를 추가합니다.

```json

"mcpServers": {

"github": {

"command": "docker",

"args": ["run", "-i", "--rm", "-e", "GITHUB_PERSONAL_ACCESS_TOKEN", "ghcr.io/github/github-mcp-server"]

}

}

```

  • docker를 실행해 MCP 서버를 시작하고, q 명령어로 CLI 세션을 열어 MCP 서버 상태를 확인합니다.

2. Next.js 앱 생성 및 파일 푸시

  • create_repository 도구로 GitHub 리포지토리 생성을 요청하고, 사용자 확인 후 자동 생성합니다.
  • push_files 도구로 생성된 코드를 리포지토리에 푸시하고, npm installnpm run dev 명령어로 로컬에서 실행합니다.
  • execute_bash 도구를 사용해 앱 실행 시 포트 충돌 방지를 위해 3001 포트로 변경합니다.

3. 코드 수정 및 동작 확인

  • get_file_contents 도구로 기존 코드를 읽고, create_or_update_file로 코드 수정을 수행합니다.
  • 수정된 코드를 다시 푸시하고, npm run dev 명령어로 변경 사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trl+c로 앱 종료 후 Q CLI로 돌아가, /quit로 세션을 종료합니다.

결론

Amazon Q CLI와 MCP를 통합하면 GitHub 리포지토리 생성, 코드 푸시, 로컬 실행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GitHub Personal Access Token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tools 명령어로 도구를 확인하는 등 인증 단계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실무에서는 자동화 시스템의 보안과 허용 범위를 명확히 설정해 협업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