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인프라 개발: 핵심 개념과 실무 적용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Go로 인프라 개발하기: 핵심 개념과 실무 적용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Go 기초를 다룬 개발자

- 백엔드/인프라 시스템 구축에 관심 있는 중급자

- 동기화, 동시성 처리, 오류 처리 패턴 학습 필요자

- 난이도: 중간 (기초 문법은 생략하고 핵심 개념에 집중)

핵심 요약

  • Go의 핵심 원칙: 명시적 오류 처리 (error 반환 및 (value, error) 튜플 사용)
  • 구조체(struct) 활용: TCP 소켓을 객체로 포장 (Client{Conn: net.Conn, ID: string})
  • 동시성 처리: goroutinesync.Mutex로 데이터 경쟁 방지

섹션별 세부 요약

1. TCP 서버 설정

  • net.Listen("tcp", ":9000")으로 포트 9000에 서버 생성
  • Go의 오류 처리 관행: 모든 함수는 (값, error) 튜플 반환
  • panic(err) 대신 if err != nil로 명시적 오류 처리

2. 클라이언트 연결 관리

  • bufio.NewReader(conn)로 TCP 스트림에서 데이터 읽기
  • strings.TrimSpace, strings.Fields 등으로 입력 텍스트 분석
  • ECHO/TIME 명령 처리 로직 구현 (예: time.Now().Format(time.RFC3339))

3. 동시성과 동기화

  • go OnConnect(conn)로 고루틴 생성: 경량 스레드로 수십만 개 동시 처리
  • sync.Mutex로 데이터 경쟁 방지: clientsMu.Lock()/Unlock() 사용
  • defer clientsMu.Unlock()로 예외 상황에서도 뮤텍스 해제 보장

4. 클라이언트 관리 및 방송

  • clients 슬라이스에 연결된 클라이언트 저장
  • broadcast(msg) 함수로 모든 클라이언트에 메시지 전송
  • closeAll()으로 I/O 종료: 시스템 코드에서 필수

결론

  • Go의 핵심은 문법이 아닌 idioms (예: 오류 처리, 고루틴, 뮤텍스)
  • 실무 적용 팁: goroutine으로 동시성, struct로 상태 관리, sync.Mutex로 동기화
  • 예제 코드: func OnConnect(conn net.Conn)에서 go OnConnect(conn)로 동시 처리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