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페이스 중심 설계: Go 언어를 활용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대상자: 중급 이상의 Go 프로그래머, 객체 지향 설계 패턴을 학습하고자 하는 개발자
- 난이도: 중상 (인터페이스, 추상화, 디커플링 등 고급 개념 포함)
핵심 요약
- 인터페이스 중심 설계의 핵심 원칙:
interface{}
를 사용한 유연한 타입 추상화, 의존성 역전 원칙 적용 - Go의 인터페이스 특징: 암시적 구현 (구현체가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만족)
- 실무 활용 예시:
io.Reader
,fmt.Stringer
등 표준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 활용으로 확장성과 유지보수성 향상
섹션별 세부 요약
1. 인터페이스 중심 설계의 정의
- 인터페이스의 역할: 구현체와 사용자 간의 의존성 분리
- Go의 인터페이스 구조:
```go
type Shape interface {
Area() float64
}
```
- 장점: 테스트 용이성, 모듈 간 결합도 감소
2. 인터페이스 구현 패턴
- 암시적 구현: 구조체가 인터페이스 메서드를 자동으로 만족
```go
type Circle struct { radius float64 }
func (c Circle) Area() float64 { return math.Pi c.radius c.radius }
```
- 인터페이스의 최소화 원칙: 소규모 인터페이스 설계로 유연성 확보
3. 실무 사례: 표준 라이브러리 활용
- io.Reader: 파일, 네트워크 스트림 등 다양한 소스에 대해 일관된 인터페이스 제공
- fmt.Stringer:
fmt.Println()
과 호환되는String()
메서드 구현 - 의존성 주입: 인터페이스로 의존성을 주입하여 테스트 가능한 코드 생성
4. 흔한 실수와 방지 방법
- 인터페이스 과도한 정의: 필요 없는 메서드 추가로 인한 복잡도 증가
- 인터페이스의 빈 구현체:
type Nil struct{}
와 같은 가짜 구현체 사용으로 테스트 커버리지 확보
결론
- 인터페이스 중심 설계는 Go에서 확장성과 유연성을 달성하는 핵심 전략
- 표준 라이브러리 인터페이스를 적극 활용하고, 소규모 인터페이스 설계로 코드 품질 향상
- 의존성 역전 원칙을 준수해 모듈 간 결합도 최소화하고 테스트 용이성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