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워커 풀 패턴: 동시성의 안정적 관리 방법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개발 툴
대상자
Go 개발자 (초보자 및 중상급)
핵심 요약
- 워커 풀 패턴은 goroutine 과량 생성으로 인한 리소스 과부하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동시성 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 3가지 핵심 구성 요소:
Task Queue
(채널),Workers
(goroutine),Results
(출력 채널). - 고급 기능: 우선순위 대기열,
context
기반 타임아웃,WaitGroup
기반 정확한 종료 처리.
섹션별 세부 요약
1. 워커 풀의 기본 원리
- 동작 원리: 작업이 채널을 통해 고정된 워커(goroutine)에 할당되고 처리된다.
- 리소스 관리: goroutine 수 제한으로 CPU/메모리 과부하 방지.
- 예제 코드:
```go
type WorkerPool struct {
jobs chan int
results chan Result
count int
wg sync.WaitGroup
}
```
2. 고급 워커 풀 기능
- 확장성:
AddWorker()
로 워커 수 동적 조정 가능. - 우선순위 처리:
Priority
필드를 가진Task
구조체 사용. - 타임아웃 처리:
context.WithTimeout()
으로 작업 시간 제한 적용. - 에러 처리:
Result
구조체로 작업 결과 및 오류 함께 전달.
3. 실무 적용 사례
- 데이터 파이프라인: 16개 워커로 8코어 서버 최적화.
- 버퍼 크기 조정:
make(chan int, 100)
으로 작업 충돌 방지. - 정확한 종료:
context
와WaitGroup
을 통해 워커 강제 종료.
4. 주의사항 및 패턴
- 버퍼 부족 대응:
select
문으로 채널 채워질 경우 작업 중단. - 메모리 누수 방지:
context.Done()
으로 워커 종료 강제. - 성능 비교: 워커 풀 사용 시 처리량 500/sec → 750/sec, 메모리 사용량 1.2GB → 800MB 감소.
결론
- 워커 풀 구현 시 핵심 팁:
context
와WaitGroup
을 통해 정확한 종료 처리.- 버퍼 크기 조정(
make(chan int, 1000)
)으로 작업 충돌 방지. Result
구조체로 작업 결과 및 오류 동시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