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델의 첫 번째 불완전성 정리와 타입스크립트를 이용한 증명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바이브코딩
대상자
- 대상자: 프로그래밍 및 수학 이론에 관심 있는 개발자, 이론 컴퓨터 과학자, 대학 수학/컴퓨터공학 전공자
- 난이도: 중간 수준 (타입스크립트 기초 및 수리 논리 지식 필요)
핵심 요약
- 고델의 첫 번째 불완전성 정리: 일관성과 복잡도가 충분한 형식 시스템은 완전하지 못하다 (타입스크립트로 시뮬레이션 가능).
- 타입스크립트 구현 핵심:
- Statement
타입: (...params: number[]) => boolean | unknown
- getGoedelNumber
: 함수의 문자열 해시로 고델 수 생성 (getStringHash
)
- isProvable
: Map
을 이용해 고델 수에 대응하는 명제의 증명 가능 여부 판단
- 불가능한 명제 생성: 재귀를 이용한
unprovableStatement
로 정리의 핵심 개념(자기 참조 불가능성)을 시뮬레이션
섹션별 세부 요약
1. 형식 시스템의 기초 정의
- 고델의 원리:
- 기본 연산자(반사적, 대칭적, 추이적 등)를 고유한 수로 매핑 (예: A => A === A
)
- TypeScript에서 Statement
타입으로 정의: (...params: number[]) => boolean | unknown
- 예제:
- STATEMENTS
배열에 반사, 대칭, 추이성 등 기본 논리 성질 정의
2. 고델 수 생성 및 시스템 매핑
- 고델 수 생성:
- getGoedelNumber
함수: getStringHash(
${statement})
로 문자열 해시 사용
- 시스템 내 모든 명제에 고델 수 할당 (Map
사용)
- 형식 시스템 구조:
- formalSystem = new Map(STATEMENTS.map(...))
로 명제와 고델 수 매핑
3. 명제의 증명 가능 여부 판단
isProvable
함수:
- Map.get(goedelNumber)(...)
의 반환 타입이 boolean
인지 확인
- typeof formalSystem.get(...)(...) === 'boolean'
- 시뮬레이션 예시:
- formalSystem.forEach(...)
로 모든 명제의 증명 가능 여부 로깅
4. 불가능한 명제 생성 및 정리 시뮬레이션
- 불가능한 명제 정의:
- unprovableStatement = () => isProvable(getGoedelNumber(...)) === false
- 자기 참조로 증명 불가능한 명제 생성
- 결과:
- 시스템이 명제를 증명하면 모순, 증명하지 않으면 참이지만 증명 불가능
- Map
에 unprovableStatement
추가 후 isProvable
실행 시 예외 처리
결론
- 실무 적용 팁:
- 타입스크립트로 고델의 정리를 시뮬레이션할 때, 재귀와 해시 함수를 이용해 고델 수 생성 가능
- 자기 참조 명제는 형식 시스템의 한계를 명확히 보여줌
- 이는 이론 컴퓨터 과학 및 형식 검증 분야에서 중요한 실천적 통찰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