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가대표 AI' 개발 총력…글로벌 경쟁력 확보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정부, '국가대표 AI' 만든다…글로벌 수준 모델 개발에 '총력'

카테고리

데이터 과학/AI

서브카테고리

인공지능, 머신러닝

대상자

AI 개발자, 정책 기획자, 기술 기업 리더

  • *난이도**: 중간 (정책 및 자원 지원 체계 설명 포함)

핵심 요약

  • 정부는 글로벌 AI 주도권을 견제하기 위해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추진
  • 정예팀은 6개월 단위 경쟁형 압축 방식으로 최신 모델 성능의 95% 달성 목표
  • GPU, 데이터, 인재 지원으로 구성된 자원 체계를 통해 기술 개발 촉진

섹션별 세부 요약

1. 프로젝트 개요 및 목적

  • 정부는 AI 기술 자립과 생태계 확장을 목표로 '월드베스트 거대언어모델' 프로젝트 공식화
  • 글로벌 기업 중심의 AI 주도권을 견제하고 기술 주권 확보를 위한 전략 수립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관련 기관이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 구조 마련

2. 정예팀 선정 및 지원 방식

  • 성능, 전략, 파급효과 기준으로 최대 5개 팀 선정 후 단계별 평가 진행
  • 6개월 단위 경쟁형 압축 방식으로 민첩한 기술 진화 유도
  • GPU, 데이터, 인재 지원으로 구성된 자원 체계 마련

3. 지원 자원 구조

  • GPU: 2024년 상반기까지 민간 임차, 이후 정부 구매 GPU로 정예팀당 최대 1,000장 이상 지원
  • 데이터: 연간 150억원 규모로 저작물 중심 공동구매 및 개별 가공 지원
  • 인재: 해외 연구자 유치 시 연 20억원 한도 내 인건비 및 연구비 지원

4. 참여 조건 및 평가 방식

  • 대학·대학원생 참여 필수, 미래 인재 양성과 국민 AI 접근성 향상 계획 제출 의무화
  • 오픈소스 수준에 따라 정부 매칭 비율 및 자부담 비율 차등 적용
  • 국민 대상 사용성 평가, 컨테스트형 심사, 벤치마크 및 안전성 검증으로 완성도 향상

5. 글로벌 브랜딩 및 지원 정책

  • 우수 모델에 'K-AI' 명칭 부여로 글로벌 브랜딩 추진
  • 기술 개발 외에도 국민 대상 사용성 평가, 벤치마크 검증 등 다층적 완성도 확보
  • 정부 지원은 단순 기술 개발에 머무르지 않고 산업 및 사회 전반에 영향 확대

결론

  • 정부는 AI 기술 주권 확보를 위해 자원 지원과 경쟁형 개발 체계를 통해 글로벌 수준 모델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향후 'K-AI' 브랜딩을 통한 국제적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