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skell로 UK 'Passport Application' 문제 해결하기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개발 툴
대상자
- 소프트웨어 개발자, 정부 시스템 설계자, 복잡한 규칙 처리에 관심 있는 개발자
- 난이도: 중급 이상 (Haskell 및 논리 프로그래밍 지식 필요)
핵심 요약
- Haskell의
LogicT 모나드
와State
를 활용해 영국 여권 신청의 복잡한 규칙을 논리적 경로로 모델링 - "Britishness" 증명은 가족 트리 형태의 재귀적 증명과 혼인 관계 입증을 요구
- HMPO 시스템의 주요 문제점: 법적 모순, 자동화 미비, 관료적 논리의 복잡성
섹션별 세부 요약
1. 문제 정의 및 도전 과제
- 여권 신청은 문서 수집, 법적 규칙 해석, 사이드 퀘스트(예: 신원확인, 외국어 서류 인증)로 구성된 '퍼즐 게임'
- HMPO 시스템은 복잡한 증명 경로를 먼저 요구하며, 법적 미세 규정으로 인한 자동화 도입 지연
- 신청자에게 요구되는 문서 목록은 모호하고, 반복적인 문서 요청 및 희귀한 가족 선조 증명서 요청 발생
2. Haskell 기반 솔루션 설계
Person/Document/Proof
타입 선언을 통해 증빙 문서 경로를 모델링Britishness
증명 함수는 입력 정보에 따라 여러 증명 경로(Set of Proofs) 탐색StateT
와LogicT IO
조합으로 인터랙티브 질의 및 상태 공유, 백트래킹 기능 구현- 귀화 증거, 1983년 이전 출생, 부모 통한 재귀적 증명 등 4가지 조건부 경로 처리
3. 실무 적용 및 한계
- ghci 활용으로 3가지 증명 경로 자동 도출, 각 경로에 필요한 문서 조합 산출
- HMPO 시스템은 법적 모순 해결을 위해 "balance of probabilities" 원칙 적용
- 자동화 도구 도입 시 신청자에게 증명 경로 분석 편의성 향상 가능성, 그러나 법률의 미묘성으로 인한 단순 yes/no 자동화의 위험성 존재
결론
- Haskell의 논리 프로그래밍 기능을 활용해 복잡한 규칙을 코드화함으로써, 관료적 논리의 시각화 및 자동화 가능
- HMPO 시스템의 개선을 위해 정부가 개발자 채용 및 자동화 도구 도입이 필수적
- "Britishness" 증명은 재귀적 증명과 혼인 관계 입증이 핵심이며, Haskell로 이를 모델링하여 효율성 향상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