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llaJS - 반응형 웹 앱 개발을 위한 가벼운 프레임워크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대상: 웹 앱 개발자, 리액티브 프레임워크를 사용하고자 하는 개발자
- 난이도: 중간 (기본적인 JavaScript 이해 필요)
핵심 요약
- 반응형 프레임워크 특징:
- signal(), effect()와 같은 반응형 API를 통해 직접 DOM 업데이트로 성능 최적화
- Zero dependencies 및 소형 빌드로 가벼운 웹 앱 개발 가능
- Declarative UI 구축을 위한 html(), forEach(), show() 등 태그 함수 기반 API 제공
섹션별 세부 요약
1. 핵심 개념 소개
- HellaJS의 핵심 특징:
- signal()
으로 상태 관리, effect()
로 부작용 처리
- 가독성 높은 태그 함수 기반의 선언적 UI 구축
- 소형 빌드 크기로 프로덕션 환경에서도 가볍게 사용 가능
2. 예제: Todo 앱 구현
- 상태 관리:
- signal([])
로 Todo 리스트 관리, inputValue.set()
으로 입력값 동기화
- todoCount()
및 hasTodos()
와 같은 computed value 활용
- 이벤트 처리:
- oninput: setInput
과 onclick: addTodo
로 이벤트 핸들러 연결
- todos.set([...todos(), inputValue()])
로 배열 상태 업데이트
3. UI 렌더링 구현
- 선언적 DOM 구조:
- html.div()
, html.input()
등으로 태그 함수 기반 컴포넌트 생성
- show(hasTodos, ...)
로 조건부 렌더링 처리
- forEach(todos, (todo) => li(todo))
로 리스트 동적 생성
4. 최종 렌더링 및 마운트
- 프레임워크 사용법:
- mount(Todo, "#todo")
로 DOM에 앱 마운트
- 모든 로직을 단일 파일에서 정의 가능
결론
- HellaJS를 사용할 때의 핵심 팁:
- signal(), effect() API를 활용해 반응형 상태 관리
- html(), show() 등 태그 함수로 선언적 UI 구축
- 가벼운 빌드 크기와 최적화된 DOM 업데이트로 성능 향상
- 소규모 프로젝트에 적합한 가독성 높은 코드 구조 사용 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