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 파는 것’이 중요한 시대, 우리 회사 신입 마케터 잘 뽑는 법
카테고리
마케팅
서브카테고리
그로스 마케팅
대상자
마케팅 팀 리더, HR 채용 담당자 / 중간~고급 수준의 전략적 사고와 실무 적용 능력 요구
핵심 요약
- 팀에 필요한 기술 파악 → 데이터 분석, 콘텐츠 제작, 광고 집행 등 역량 기준 설정
- 적응력과 호기심 평가 → ‘최근 배운 기술’ 관련 질문을 통해 성장 가능성 확인
- AI 도구 활용 및 훈련 체계 구축 → RPE(1인당 매출) 향상을 위한 AI 적응 문화 조성
- 장기적 커리어 패스 연계 → 지원자의 성장욕구와 회사 기회 일치 여부 점검
섹션별 세부 요약
1. **필요 역량 명확화**
- 팀의 데이터 분석, 트렌디한 콘텐츠 제작, SEO 전문성 등 부족한 역량 식별
- 채용 공고의 명확성 확보 → 화려한 스펙보다 핵심 역량에 맞는 인재 선별
2. **적응력과 호기심 평가**
- 후보자에게 ‘최근 배운 기술’ 관련 질문 제시 (예: 기술 인식 시기, 학습 동기, 과정, 교육 경험)
- 학습 패턴 분석 → 채용 후 교육 지원 전략 수립 가능
3. **AI 도구 활용과 훈련 체계**
- RPE(1인당 매출) 향상을 위한 AI 도구 적응 문화 조성
- 직원의 부족한 부분에 대한 지속적 학습 지원 → 생산성 극대화
4. **장기적 커리어 연계**
- 지원자의 장기 목표와 회사의 경력 기회 제공 가능성 점검
- 성장욕구 불충족 시 퇴사율 증가 → 회사 자산 유실 방지
결론
- 핵심 전략: 적응력과 호기심 중심의 채용 기준 설정 + AI 활용 훈련 체계 구축
- 실무 팁: 후보자와의 인터뷰에서 ‘최근 학습 경험’ 질문을 통해 성장 가능성 평가, 회사의 장기적 경력 기회와 지원자 목표 일치 여부 분석
- 성공 사례: 짐 레신스키 교수의 ‘적응력 > 전문성’ 채용 철학 적용 시 팀 생산성 및 유지율 향상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