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 문서를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방법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제품 관리자, 디자이너, QA 담당자 등 기술적 지식이 필요한 비엔지니어 분야
- 중간 난이도 - 기술 용어 설명과 실무 예제를 포함하여 초보자에게도 이해 가능
핵심 요약
- API 문서는 제품 통합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
- 기능 검증, 보안 문제 식별, 테스트 가능성, 기회 발견
- REST API 문서의 필수 요소
- 인증, 리소스, 엔드포인트, 요청/응답 형식, 상태 코드
- GraphQL과 REST의 주요 차이
- 단일 엔드포인트, 정밀한 쿼리, 효율성
섹션별 세부 요약
1. **API 문서의 중요성**
- 비엔지니어의 역할 강조 - 기술적 개념을 이해하고 이해관계자에게 전달해야 함
- 실제 사례 - SOAP/XML 포맷 사용 시 통합 어려움 발생
- 문서 미비 시 위험 - 2020년 이전의 문서는 통합 실패의 신호
2. **REST API 문서의 핵심 구성 요소**
- 인증
- 토큰 기반 인증 (예: Shippo의 Production Token)
- 토큰 유효성 검증 필수
- 리소스
- Shippo: 주소, 박스, 운송 정보
- Shopify: 상품, 주문, 고객 정보
- 클라이언트 라이브러리
- Python, Ruby, Node.js 등 다양한 언어 지원
- Ruby Gem 예시: 라이브러리 사용으로 개발 시간 절약
3. **엔드포인트 테스트 및 요청/응답 구조**
- 엔드포인트 정의
- URL + 메서드 + 리소스 조합 (예: GET /RemoteControl)
- Mailchimp 예시: https://us6.mailchimp.com/account/api/ + /reports?campaign_id=123
- 요청/응답 형식
- 필수 필드 정의 (Shippo 예시: 주소, 박스 정보)
- HTTP 메서드
- POST: 자원 생성
- GET: 데이터 조회
- PUT: 자원 업데이트
- DELETE: 자원 삭제
4. **GraphQL과 REST의 비교**
- GraphQL 특징
- 단일 엔드포인트 사용
- 정밀한 쿼리 지원 (예: Shopify GraphQL: products(first: 3))
- 복잡한 데이터 요청 시 효율성
- REST vs. GraphQL 요약
- REST: 다중 엔드포인트, 단일 요청으로 데이터 제한
- GraphQL: 단일 엔드포인트, 복잡한 쿼리로 데이터 통합
5. **API 문서 관리 도구: Apidog**
- 등록 절차
-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제공
- 엔드포인트 생성
- "+" 버튼으로 신규 엔드포인트 추가
- HTTP 메서드, 파라미터, 응답 상태 코드 정의
- 문서 공유 기능
- 팀 내 협업 및 테스트 용이
결론
- API 문서는 통합 성공의 핵심 - REST와 GraphQL의 차이를 이해하고, Apidog과 같은 도구를 활용해 문서를 체계적으로 관리
- 비엔지니어도 기술적 개념을 파악하여 팀 협업과 품질 향상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