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세션 키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 키를 보관하지 않고 저장하는 방법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인프라/DevOps/보안

대상자

  • 자율 에이전트 개발자 및 보안 엔지니어
  • 중급~고급 수준의 DevOps 및 인프라 설계자

핵심 요약

  • 세션 키의 한계를 넘어서는 보안 전략
  • HSM(Hardware Security Module)을 활용한 키 저장 방식 강조
  • 암호화 기술과 키 회전(Key Rotation) 전략의 필수성
  • 암호화 at rest동적 암호화 기법 적용
  • 인프라 설계 시 보안 프로토콜
  • TLS 1.3 이상 사용, AES-256 기반 암호화 구현

섹션별 세부 요약

1. 세션 키의 한계

  • 세션 키만으로는 장기 보안이 불가능
  • 세션 종료 시 키 유출 위험 증가
  • 동적 환경에서 키 관리의 복잡성 증가
  • 자율 에이전트의 실시간 조작이 요구됨

2. HSM 기반 키 저장 전략

  • HSM(Hardware Security Module) 활용
  • 물리적 보안과 분산 저장 기능 제공
  • 키를 메모리에 보관하지 않는 방식
  • HSM의 보안 캐시로 키 접근 제어

3. 암호화 및 키 회전

  • 암호화 at rest 적용
  • AES-256 기반의 키 암호화 저장
  • 키 회전 정책
  • 일정 주기(예: 7일)마다 키 재발급

4. 인프라 설계 고려사항

  • TLS 1.3 이상의 프로토콜 사용
  • Perfect Forward Secrecy 보장
  • 보안 프로토콜 강제 적용
  • FIPS 140-2 인증된 하드웨어 사용 권장

결론

  • HSM과 암호화 at rest 기술을 결합하여 키를 메모리에 보관하지 않고 저장할 것
  • TLS 1.3 이상의 보안 프로토콜과 AES-256 암호화를 반드시 적용
  • 자동화된 키 회전 정책을 통해 장기 보안을 확보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