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perlane 오류 처리와 디버깅 가이드: 대학 생의 실전 요약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Rust와 Hyperlane 프레임워크를 사용하는 웹 개발자 및 학습자
- 오류 처리와 디버깅 기법에 관심 있는 초보 개발자
- 난이도: 중간 (Rust 기본 지식 및 웹 프레임워크 경험 필요)
핵심 요약
- 커스텀 오류 타입 정의:
AppError
열거형을 통해NotFound
,Unauthorized
,DatabaseError
등 구체적 오류 구분 - 미들웨어 기반 오류 처리:
error_middleware
에서AppError
를 기반으로 HTTP 상태 코드 자동 매핑 (예:404
,401
,500
) - 성능 모니터링 구현:
perf_monitor
에서 요청 처리 시간 및 메모리 사용량 로깅 (예:Duration
,get_memory_usage()
)
섹션별 세부 요약
1. 오류 처리 원칙
AppError
열거형 정의:DatabaseError(String)
,ValidationError(Vec
등 구체적 오류 유형 포함) From
트레이트 구현: 외부 오류를AppError
로 변환handle_request
함수에서process_data().await
결과에 따라200 OK
또는500 Internal Server Error
응답 처리
2. 미들웨어 기반 오류 처리
error_middleware
함수:ctx.get_error().await
로 오류 추출 후 상태 코드 매핑AppError::Unauthorized
시401 Unauthorized
,AppError::NotFound
시404 Not Found
응답 설정auth_handler
에서Authorization
헤더 검증 실패 시AppError::Unauthorized
반환
3. 디버깅 기법
logging_middleware
: 요청 메서드, 경로, 처리 시간 로깅 (예:println!("[{}] {} - Completed in {:?}", method, path, start.elapsed())
)trace_request
:uuid::Uuid::new_v4()
로 요청 트레이스 ID 생성 및X-Trace-ID
헤더 전송perf_monitor
에서get_memory_usage()
호출로 메모리 사용량 추적
4. 성능 모니터링
perf_monitor
: 요청 처리 시간 (start.elapsed()
)과 메모리 사용량 차이 (memory_after - memory_before
) 로깅timeout_handler
:tokio::time::timeout(Duration::from_secs(30), ...)
로 30초 제한 설정handle_concurrent_requests
:Semaphore::new(10)
로 동시 요청 제한 (10개 동시 처리 허용)
5. 실전 팁
validate_input
함수에서Vec
기반 유효성 검증 오류 처리Ok(data)
와Err(e)
분기 처리 시set_response_body(data)
및set_response_body(e.to_string())
사용logging_middleware
에서get_request_method().await
와get_request_path().await
로 요청 정보 추출
결론
- 핵심 팁: 오류 타입을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미들웨어에서 일관된 응답 처리를 수행하며,
perf_monitor
로 성능 지표를 실시간으로 추적해야 한다. - 예시:
AppError::DatabaseError("Connection failed")
오류 발생 시500 Internal Server Error
응답에 오류 메시지 포함. - 결론: 구조화된 오류 처리와 로깅은 시스템의 안정성과 디버깅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