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하이퍼레이인 런트 HTTP 프레임워크 활용 경험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대상: Rust 초보자~중급 개발자, 분산 시스템 프로젝트 수행자

- 난이도: 중간 (비동기 프로그래밍 및 미들웨어 개념 이해 필요)

핵심 요약

  • 프레임워크 성능: hyperlane = "5.25.1" 버전의 고성능, 경량 웹 프레임워크 특징
  • 코드 간결성: ctx.get_request_method().await와 같은 직접 접근 API 제공
  • 비동기 처리: async fn 생략 시 발생하는 컴파일러 오류 주의
  • 응답 처리: send() vs send_once()TCP 연결 유지 여부 차이 중요

섹션별 세부 요약

1. 프레임워크 도입 및 설정

  • Cargo.tomlhyperlane = "5.25.1" 의존성 추가
  • 비동기 API 기반의 고성능 웹 서비스 개발 목적

2. `Context` 추상화 활용

  • 기존 프레임워크의 ctx.get_request().await.get_method() 방식 대비
  • 단일 호출 ctx.get_request_method().await코드 가독성 향상
  • 자동 생성 getter/setter 메서드로 request.method 매핑

3. REST API 구현 시 고려사항

  • async fn user_api(ctx: Context)와 같이 비동기 핸들러 정의
  • async 키워드 누락 시 컴파일 오류 발생 (30분 이상 디버깅 필요)

4. 응답 API 비교 분석

| 작업 유형 | 예시 코드 | 목적 |

|---|---|---|

| 응답 가져오기 | ctx.get_response().await | 전체 응답 객체 획득 |

| 상태 코드 설정 | ctx.set_response_status_code(404).await | HTTP 404 설정 |

| 응답 전송 | ctx.set_response_body("Data").send().await | 연결 유지 후 응답 전송 |

| 즉시 종료 | ctx.set_response_body("Bye").send_once().await | 연결 종료 후 응답 전송 |

5. 미들웨어 워크플로우 (온리온 모델)

  • 요청 흐름: Middleware 1 (외부)Middleware 2 (내부)Controller
  • 응답 흐름: ControllerMiddleware 2 (응답)Middleware 1 (응답)Response

6. 로깅 미들웨어 구현 예시

async fn log_middleware(ctx: Context, next: Next) {
    let start_time = Instant::now();
    println!("Request started at: {:?}", start_time);
    next.await;
    let duration = start_time.elapsed();
    println!("Request duration: {:?}", duration);
}
  • Next 타입을 통해 미들웨어 체인 처리 가능

결론

  • 비동기 핸들러 정의 시 async 키워드 누락 주의
  • 미들웨어 구조onion model을 기반으로 설계
  • send() vs send_once() 선택은 장기 연결 유지 여부에 따라 결정
  • 실무 적용 시: hyperlaneContext API를 활용한 간결한 요청/응답 처리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