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boxNegotiator: AI와 Postmark를 활용한 채무 상환 계획 자동화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채무 상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일반 사용자
- 서버리스 아키텍처 및 AI 인프라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원하는 개발자
- 난이도: 중간 (AI 연동, 서버리스 기술 기초 지식 필요)
핵심 요약
- AI가 채무 상환 협상 메일을 자동 생성하여 사용자가 수정 및 전송 가능
- Supabase + Astro + Gemini API 기반의 서버리스 아키텍처로 구현
- 실시간 대시보드를 통해 협상 상태 및 예상 절약 금액을 시각화
섹션별 세부 요약
1. 애플리케이션 사용 방법
- 사용자는 Postmark의 Inbound Webhook을 통해 채무 통지 이메일을 수신
- AI가 자동으로 법적 요건 준수한 협상 메일을 생성 (예: "Debt negotiation plan: $300/month for 6 months")
- 사용자가 메일 수정 후 Postmark를 통해 채권자에게 전송 가능
- Postmark Server Token 입력 시 앱 내에서 직접 전송 가능
2. 실시간 대시보드 기능
- shadcn/ui + HeroUI로 구현된 대시보드에서 협상 진행 상황, 제안 계획, 예상 절약 금액 확인 가능
- 협상 히스토리와 AI 생성 메일의 타임라인 시각화
- 채권자 응답 시 자동으로 대시보드에 업데이트
3. 기술 스택 및 아키텍처
- 프레임워크: Astro (Astro Endpoints 기반의 Full-Stack API)
- 이메일 처리: Postmark Inbound Webhook을 통한 JSON 파싱
- 데이터베이스: Supabase (PostgreSQL, Edge Functions 활용)
- AI: Gemini API (Supabase Edge Function에서 호출)
- 이벤트 기반 워크플로우:
- Postmark Webhook → Astro API Route (
/api/postmark
) - Supabase에 채무 정보 저장 → Edge Function으로 Gemini API 호출
- AI 생성 결과 Supabase에 저장 → 대시보드 실시간 업데이트
4. Postmark의 핵심 역할
- Inbound Parsing 기능으로 이메일을 정규화된 JSON으로 변환
- Webhook의 신뢰성으로 정확한 데이터 처리 가능
- 서버리스 기반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기본 인프라 제공
결론
- Postmark의 Inbound Webhook과 Gemini API 연동을 통해 채무 협상 자동화 가능
- 서버리스 기술 (Supabase, Astro)을 활용한 실시간 대시보드 구현 권장
- GitHub 링크에서 소스 코드 확인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