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 개발자로서의 SaaS 개발 경험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초보 개발자 및 SaaS 프로젝트를 고려 중인 사람들
- 실무 경험과 기술적 깊이를 동시에 요구하는 중급 수준
핵심 요약
- MVP(최소 기능 제품) 개발이 완벽한 기능보다 중요한 이유
- "완벽함은 진보의 적" - 사용자는 기능이 완성된 제품보다 문제를 빠르게 해결하는 제품을 원함
- 마케팅의 중요성
- "코드 자체는 스스로 팔리지 않음" - 기술 블로그 작성, X 및 LinkedIn 활동 등 마케팅 전략 필요
- 작업-생활 균형 유지 전략
- "8시 이후 개발 금지", "주말 복구 시간" 등 구체적인 경계 설정 필요
섹션별 세부 요약
1. 초기 개발 과정 및 첫 교훈
- 4개월 간의 개발 경험
- SaaS boilerplate 개발로 인해 기업가 정신, 연료 고갈, 혼자 개발의 현실을 경험
- 완벽한 결제 시스템 개발 실패
- 3주간 완벽하게 구현했지만, 사용자 0명
- "완벽함은 진보의 적"이라는 교훈 얻음
2. 마케팅 전략 변화
- 기존 개발 집중에서 마케팅으로의 전환
- 기술 블로그 작성, X 및 LinkedIn 활동, 사용자와의 직접 대화 등
- 결과 분석
- "불완전한 v1 + 마케팅"이 "완벽한 v0 + 무마케팅"보다 훨씬 성공
3. 작업-생활 균형 유지
- 과도한 업무로 인한 정신적 고갈
- 3일간 결제 인테그레이션 디버깅 후, 집을 떠나지 못한 상태
- 효과적인 균형 전략
- "8시 이후 개발 금지", "주말 복구 시간", "카페 근무", "정기 운동"
4. 시간 블록 관리
- 다양한 작업 전환으로 인한 혼란
- 디버깅, 문서 작성, 지원 이메일, UI 디자인, 비즈니스 운영
- 시간 블록 전략
- 아침: 깊은 개발 작업, 오후: 지원 및 커뮤니케이션, 저녁: 계획 및 관리 작업
5. 문서 작성의 중요성
- 문서 작성의 저항
- 기능 개발보다 즉각적 보람 없음
- 장기적 효과
- 2주 휴식 후 코드베이스 재검토 시, 문서가 유용함
6. 가격 정책 결정
- 가격 고민의 복잡성
- $29 vs $99, 구독 vs 일회성 등 고민
- 가치 중심 접근
- 시간 절약 효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치를 중심으로 결정
7. 재정적 버퍼의 중요성
- 2년간의 저축
- 렌트, 기본 생활비 걱정 없이 집중 가능
- 재정적 안정의 영향
- 긴급한 수익 창출이나 결정을 피할 수 있음
8. 도구 선택 원칙
- 사용자 친화적 도구 선택
- Nuxt.js, Supabase 등 직접적인 개발 편의성을 중시
- "완벽한 기술 스택"보다 "일관된 배포"를 가능하게 하는 도구 선택
9. 비판 대응 전략
- 초기 비판 대응
- 경고적, 건설적 비판 모두 존재
- 지원적인 목소리의 중요성
- 비판은 대표적이지 않음, 성공을 원하는 사람들도 존재
10. 결론 및 통찰
- 자유로움과 창의성의 가치
- 기업 내 회의보다 문제 해결이 더 만족스러움
- 추천 전략
- "빠르게 배포, 사용자와 대화, 완벽보다 진보를 중시"
결론
- "완벽한 기능보다 MVP 배포", "마케팅 전략 수립", "작업-생활 균형 유지", "도구 선택 시 일관성 중시"가 성공의 핵심이며, "비판은 무시하고 지원적인 목소리에 집중"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