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라이제이션 vs. 인터내셔널라이제이션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웹 개발자, 디자이너, 제품 기획자 등 글로벌 시장 대상 웹 프로젝트 참여자
난이도: 중간(기본 개념 이해 및 실무 적용 필요)
핵심 요약
- 인터내셔널라이제이션(i18n)은 코드베이스와 UI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언어/지역별 적응 가능하게 설계하는 과정
Intl.DateTimeFormat
등 국제화 API 활용, Unicode(UTF-8) 지원- 로컬라이제이션(L10n)은 특정 지역/시장에 맞춘 문화적 조정 및 번역 수행 (예: 중국에서의 날짜 형식 YYYY-MM-DD)
- i18n과 L10n은 상호보완적으로, 글로벌 제품 개발에 필수적
섹션별 세부 요약
1. 인터내셔널라이제이션(i18n) 정의 및 핵심 기술
- 코드 기반 유연성 확보
- Unicode(UTF-8) 지원으로 다양한 스크립트 처리
Intl.DateTimeFormat
활용한 날짜/시간 형식 구조화- UI/UX 설계 원칙
- LTR/RTL 레이아웃 지원 (예: 아랍어/히브리어)
- 텍스트 확장 대응 가능한 유연한 UI 레이아웃 설계
2. 로컬라이제이션(L10n) 정의 및 실행 사례
- 문화적 적응 중심
- UI 텍스트, 도움말, 이미지 설명의 번역 및 문화적 맞춤 (예: 프랑스어로의 텍스트 변환)
- 지역별 날짜/시간 형식 조정 (중국: YYYY-MM-DD)
- 비주얼/톤/색상 조정
- 문화적 규범에 맞는 색상/이미지/톤 변경
- 국지적 상징/성어로의 대체 (예: "사자 같은 용기" → "호랑이 같은 용기" 등)
결론
- i18n과 L10n은 병렬적으로 수행해야 글로벌 제품의 성공 가능
- W3C 인터내셔널라이제이션 사이트 참고 (https://www.w3.org/International/)
- 실무 팁: Unicode 지원,
Intl.DateTimeFormat
사용, 문화적 맞춤 전략 수립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