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 26 AlarmKit API: Time-Sensitive Notifications for Develo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iOS 26에서의 AlarmKit API 도입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개발 툴

대상자

iOS 앱 개발자, 타이머 기능이 필요한 앱 개발자

(난이도: 중급 이상, 시스템 레벨 통합 및 사용자 권한 처리 필요)

핵심 요약

  • AlarmKit은 iOS 26에서 시간 기반 알림을 위한 시스템 레벨 프레임워크로, 고정 시간 스케줄링타이머 기반 스케줄링을 지원
  • 사용자 동의 필수NSAlarmKitUsageDescription 등록 필요, AlarmManager.requestAuthorization() API 활용
  • Live ActivitiesApp Intents 통합을 통해 알람 상태 동적 UI커스텀 액션 지원
  • Critical 알람 사용 시 보장된 전달시스템 수준 우선순위 제공

섹션별 세부 요약

1. 도입 배경

  • 전통적 로컬 알림과 시스템 알람 간의 격차 해결
  • 시간 기반 알림의 신뢰성과 사용자 경험 향상 목표

2. 스케줄링 모델

  • 고정 시간 스케줄링: 절대 시간 기반, 타임존 고정
  • 타이머 기반 스케줄링: 상대 시간 기반, 타임존 변화에 대응
  • 반복 스케줄링 지원 (예: 매주 월/수/금 오전 7시)

3. 사용자 권한 처리

  • NSAlarmKitUsageDescription Info.plist 등록 필수
  • AlarmManager.requestAuthorization() 또는 첫 알람 스케줄링 시 자동 요청
  • 상태: notDetermined, authorized, denied 처리 로직 구현

4. 아키텍처 구성

  • 3가지 핵심 구성 요소: 알람 스케줄링, 상태 관리, UI 표시
  • Countdown 시스템:

- Pre-alert: 알람 시작 전 카운트다운 UI 표시

- Post-alert: 일시정지, 반복 기능 처리

5. UI 표시 상태

  • 3가지 상태: alert, countdown, paused
  • 시스템 레벨 우선순위 적용, 커스텀 타이틀/버튼/액션 지원

6. Live Activities 통합

  • 타이머 기능 지원 시 Live Activity 필수 구현
  • Lock Screen, Dynamic Island, StandBy 모드에 UI 표시
  • AlarmMetadata 프로토콜을 통해 커스텀 데이터 전달 (예: 요리법 정보, 운동 유형)

7. App Intents 통합

  • 커스텀 액션 지원: openAppWhenRun 설정으로 앱 실행
  • 알람 식별자 전달, 앱 내 특정 화면/워크플로우 트리거 가능

8. 커스텀 사운드 지원

  • AlertConfiguration.AlertSound 시스템을 통해 앱 내 사운드 파일 활용
  • main bundle 또는 Library/Sounds 폴더에 저장

9. Fallback 메커니즘

  • Live Activities 비활성 시 시스템 레벨 UI 대체 (예: 재부팅 후)
  • 일관된 기능 보장

10. 사용 사례

  • 필수 알람 대상: 요리 타이머, 약 복용 알림, 운동 간격, 자정 알람
  • 비추천 사례: 일반 알림 대체

11. 디자인 고려사항

  • 알람 제목: 목적 명확히 전달
  • 버튼 라벨: 가능한 액션 명시
  • Tint Color: 앱 식별 가능하도록 설정

12. 구현 단계

  1. 권한 흐름 및 기본 알람 스케줄링 구현
  2. 커스텀 UI 및 Live Activities 통합
  3. 다양한 기기 상태(잠금, 포커스 모드, 재부팅)에서의 테스트

13. 마이그레이션 권장

  • 기존 로컬 알림 사용 앱은 필수 알람에 한해 점진적 이관 권장
  • 높은 신뢰성과 우선순위 요구 시 추가 구현 복잡성 허용

결론

  • AlarmKit은 시스템 레벨 통합보장된 전달을 제공하는 핵심 도구
  • Live ActivitiesApp Intents 활용 시 고도화된 사용자 경험 가능
  • 모든 기기 상태에서의 테스트와 권한 처리 로직 구현 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