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에서 가비지 컬렉션의 개념과 수동적으로 트리거할 수 있는 방법 설명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개발 툴
대상자
- Java 개발자
- 메모리 관리 및 JVM 동작 원리에 관심 있는 초/중급 개발자
- 난이도: 중간 (JVM 내부 메커니즘 이해 필요)
핵심 요약
- 가비지 컬렉션(GC)은 JVM이 자동으로 사용되지 않는 객체를 메모리에서 제거하는 프로세스로, 메모리 누수 예방과 성능 최적화에 기여
- System.gc() 메서드를 호출해 수동으로 GC 트리거 가능하지만, 즉시 실행 보장되지 않음
- JVM이 객체의 참조 여부를 추적해 자원 해제를 관리
섹션별 세부 요약
1. 가비지 컬렉션의 정의 및 목적
- 자동 메모리 관리를 통해 개발자가 수동으로 메모리 해제를 신경 쓰지 않도록 지원
-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고, 앱 성능 저하를 예방
- JVM이 객체의 참조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사용 불가능한 객체를 회수
2. 수동 트리거 방법
- System.gc() 메서드 호출로 GC를 요청할 수 있음 (예:
System.gc()
) - 하지만 JVM이 즉시 GC를 실행하지 않을 수 있음 (예: 메모리 부족 시)
- 메모리 최적화를 위한 보조 수단으로 활용 권장
3. GC의 작동 방식
- 참조 추적을 통해 사용 가능한 객체와 사용 불가능한 객체를 구분
- GC 알고리즘(예: Mark-and-Sweep)을 통해 메모리 정리
- 성능 최적화를 위해 GC 트리거 시점 조절 필요
결론
- System.gc()는 GC 요청 수단이지만, JVM의 결정에 의존해야 하므로 메모리 최적화 전략에 포함시키는 것이 좋음
- GC의 자동성에 의존하기보다 메모리 사용 패턴 분석과 객체 생명 주기 설계에 주력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