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 커뮤니티, 그리고 커피: 자바 미팅데이의 하루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인공지능
대상자
- 자바 및 웹 개발자: JAMstack, Strapi, Spring AI 등 기술적 개념 학습
- 초보자 및 중급자: 실무 예제를 통한 실전 개발 팁 습득
- AI 통합 개발자: LLM(대규모 언어 모델)과의 연동 방법 이해
핵심 요약
- JAMstack과 Strapi 활용: 전통적인 PHP+MySQL 방식 대비 JAMstack의 JavaScript + API + Markup 구조로 웹 성능 향상
- 오류 예방 전략:
if (b != 0)
과 같은 조건문을 통해 런타임 오류(예: 0으로 나누기) 방지 - Spring AI와 LLM 통합:
ChatGPT
,Claude
,Ollama
등 LLM을 React + Next.js 인터페이스에 통합해 활용
섹션별 세부 요약
1. JAMstack과 Strapi의 역할
- 전통적 웹 개발 방식 (PHP+MySQL)의 문제점: 사용자 요청마다 서버가 컨텐츠 추출, 스타일링, 로직 실행 등 반복 작업 수행 → 로딩 시간 증가
- JAMstack 구조:
- JavaScript로 로직 처리
- API로 데이터 관리
- Markup(HTML)로 디자인 → 빠른 로딩 및 확장성
- Strapi 예시: 뉴스 앱에서 API로 데이터 즉시 제공 → 앱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가져와 빠르게 렌더링
2. 오류 탐지 챌린지
- "Error Screening Challenge" 팀 활동: 45초 내에 버그 코드 수정
- 예시 코드:
```java
public class Calculato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10;
int b = 0;
if (b != 0) {
int result = a / b;
System.out.println("Result: " + result);
} else {
System.out.println("Error: Cannot divide by zero!");
}
}
}
```
- 핵심 팁: 0으로 나누기 예외 처리를 위한 조건문(if-else) 사용
3. 데이터 파이프라인의 진화
- Traditional Era → Middle Era → Digital Era의 데이터 처리 방식 변화:
- Traditional: 파일 기반 수동 처리
- Middle: 데이터베이스 + Excel/Access 분석
- Digital: Snowflake, BigQuery, Kafka 등 실시간 데이터 처리 도구 활용
- 예시: 앱 사용 시 위치, 클릭, 검색 기록이 실시간으로 데이터 파이프라인으로 전송
4. 자바 멀티스레딩 개념 설명
- 테이 가게 유사도:
- 단일 스레드: 1명의 웨이터가 고객을 순차적으로 처리 → 대기 시간 증가
- 멀티스레딩: 3명의 웨이터가 동시 처리 → 병렬 처리 가능
- Java에서의 응용: 스레드를 사용한 병렬 작업 처리
5. Spring AI와 LLM 통합
- Spring AI의 역할: 자바 애플리케이션에 LLM(예: ChatGPT
, Claude
) 활용
- React + Next.js 인터페이스로 3가지 AI 도구 비교:
- 동일 질문에 대한 다양한 스타일의 답변 제공
-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따른 모델 선택 권장
결론
- 실무 적용 팁:
- 조건문 사용으로 런타임 오류 예방
- JAMstack으로 웹 성능 개선
- Spring AI를 통해 LLM과의 시스템 통합
- 다음 미팅 준비: PostgreSQL 세션 참석 계획 수립
- 핵심 메시지: 커뮤니티 참여와 기술 공유가 개발자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