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Spring Boot에서의 트랜잭션 마스터링: 개발자 가이드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Java Spring Boot 개발자 (중급~고급)
- 데이터 무결성 보장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예: 금융, 인벤토리 시스템)
- 트랜잭션 관리 원리 이해가 필요한 프로그래머
핵심 요약
- 트랜잭션의 ACID 원칙 (Atomicity, Consistency, Isolation, Durability)을 반드시 포함.
- Spring Boot의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은 트랜잭션을 자동으로 관리하며, 예외 발생 시 롤백 처리. - 서비스 레이어에만
@Transactional
적용하고, 컨트롤러/리포지토리에서는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
섹션별 세부 요약
1. 트랜잭션의 정의
- 트랜잭션은 모든 작업이 성공하거나 실패해야 하는 논리적 단위로,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
- ACID 원칙을 통해 데이터 일관성과 시스템 안정성 유지.
2. Spring Boot의 트랜잭션 관리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서비스 메서드에 적용하여 트랜잭션 범위 정의.- 예외 발생 시 자동 롤백 처리로, 중간 데이터 오염 방지.
3. 은행 이체 예제 구현
- Account 엔티티 정의, AccountRepository 생성, BankService의
@Transactional
메서드로 이체 로직 구현. repository.save()
호출 후 예외 발생 시 트랜잭션 롤백 처리.
4. 예외 처리 및 롤백 설정
- 런타임 예외 (예:
RuntimeException
)은 자동 롤백. - 체크 예외 (예:
IOException
)는@Transactional(rollbackFor = IOException.class)
명시 필요.
5. 트랜잭션 베스트 프랙티스
- 서비스 레이어에만
@Transactional
적용 (컨트롤러/리포지토리 제외). - 복잡한 로직은 트랜잭션 메서드 외부로 분리.
- 지연 로딩 엔티티 주의 (트랜잭션 종료 후 추가 데이터 불러오기 불가).
- 로그/모니터링 도구로 트랜잭션 경계 추적.
6. 트랜잭션 테스트 방법
@SpringBootTest
를 사용해 롤백 테스트 수행.- 이체 실패 시 잔액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는지 검증.
결론
@Transactional
은 서비스 레이어에만 적용하고, 예외 처리 로직을 명확히 정의하세요.- ACID 원칙을 준수하며, 트랜잭션 범위를 최소화해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하세요.
- 테스트 케이스로 롤백 동작 검증하여, 데이터 무결성 보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