깔끔하고 확장 가능한 JavaScript 비동기 오류 처리: Try-Catch 없이 오류를 관리하는 방법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개발 툴
대상자
- JavaScript 개발자 (중급~고급)
- 비동기 프로그래밍 및 오류 처리에 관심 있는 개발자
- 코드 가독성과 유지보수성을 고려한 프로젝트 팀
핵심 요약
- Lovit 라이브러리 사용으로
try-catch
블록 없이 비동기 오류를 처리할 수 있음 - 오류 핸들러 분리 (
notFound
,catch
)로 비즈니스 로직과 오류 처리를 분리 - 중심화된 오류 관리로 코드 가독성과 확장성 향상
fetchLovit
,createProfile
등 Lovit API 활용
섹션별 세부 요약
1. 전통적인 `try-catch` 방식의 한계
try-catch
블록 사용 시 코드 복잡도 증가- 비동기 로직과 오류 처리가 섞여 유지보수 어려움
- 상태 코드(예: 404) 처리 시 조건문 증가
2. Lovit 라이브러리 소개
fetchLovit
API로fetch
요청을 Lovit에 위임try-catch
블록 없이 비동기 요청 처리 가능res.json()
호출 시 로직 분리 예시:
```javascript
const res = await fetchLovit({ key: 'post.getPosts', url: '...' });
const posts = await res.json();
```
3. 오류 핸들러 구성
createProfile
API로 오류 핸들러 정의:
```javascript
const postProfile = createProfile({
name: 'post',
tasks: {
getPosts: {
notFound: () => console.warn('⚠️ Posts not found'),
catch: (err) => console.error('❌ Network error:', err),
},
},
});
```
notFound
: 404 상태 코드 핸들러catch
: 일반 예외(네트워크 실패 등) 핸들러
4. Lovit의 추가 기능
- 오류 핸들러 자동 트리거
- 문서에서 자세한 기능 설명 제공 (lovit.dev)
결론
- Lovit을 사용해
try-catch
를 대체하고, 오류 핸들러를 중심화하여 코드를 간결하게 유지하세요. fetchLovit
과createProfile
API를 활용해 비동기 로직과 오류 처리를 분리하고,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