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 Closure: Using Private Variables (59 characters)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클로저(JavaScript) — 프라이빗 변수 활용하기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JavaScript 초보자 및 중급 개발자, React 및 함수형 프로그래밍 학습자*
  • 난이도: 중간 (클로저 개념 이해 및 실무 적용에 초점)*

핵심 요약

  • 클로저는 외부 스코프의 변수를 유지하는 함수로, 함수 호출 후에도 상태를 보존할 수 있음
  • 프라이빗 변수 생성, 상태 유지, 함수 팩토리 생성, 글로벌 스코프 오염 방지에 활용
  • useState와 같은 React 훅, 함수형 프로그래밍 패턴과 연관됨

섹션별 세부 요약

1. 클로저의 정의 및 기능

  • 클로저는 실행 시점에 외부 스코프의 변수를 기억하는 함수
  • 외부 함수가 종료 후에도 내부 함수가 외부 변수에 접근 가능
  • 예: function outer() { let x = 10; return function inner() { return x; } }

2. 클로저의 주요 활용 사례

  • 프라이빗 변수 생성: 외부에서 직접 접근 불가능한 변수 정의 가능
  • 상태 유지: useState와 유사한 방식으로 상태를 함수 내부에서 관리
  • 함수 팩토리: 동일한 로직을 가진 함수를 반복적으로 생성할 때 유용
  • 글로벌 스코프 오염 방지: 변수를 지역 스코프에 제한하여 오염 방지

3. 실무 예제와 패턴

  • 반복문 내 변수 잠금: let 대신 const 사용하여 클로저로 변수 고정
  • 클래스 내 프라이빗 메서드: #methodName 구문으로 정의 가능
  • 함수형 프로그래밍: 클로저를 통해 순수 함수 작성 및 상태 관리

4. 클로저의 중요성과 학습 포인트

  • JavaScript의 핵심 기능으로, 모듈화 및 보안 강화에 기여
  • React 훅, 데이터 캡슐화, 비동기 처리 등에 직접적 영향
  • 초기 학습 시 '스코프와 실행 컨텍스트' 개념 정리 필요

결론

  • 클로저를 통해 프라이빗 변수를 생성하고 상태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음
  • useState와 같은 React 훅은 클로저 원리에 기반하여 작동
  • 함수형 프로그래밍 패턴과 결합하여 모듈화된 코드 작성에 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