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디버브와 스로틀 기법을 통한 JavaScript 성능 최적화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프론트엔드 개발자, 특히 이벤트 처리와 성능 최적화에 관심 있는 개발자

핵심 요약

  • 디버브(debounce)는 사용자 입력이 중단된 후에만 함수를 실행하는 기법으로, input 이벤트와 검색 자동완성에 적합
  • 스로틀(throttle)는 정해진 시간 간격마다만 함수를 실행하는 기법으로, resize 이벤트나 스크롤 애니메이션에 적합
  • Lodash와 같은 라이브러리의 debounce/throttle 함수를 사용하여 복잡한 구현을 피할 수 있음
  • 성능 향상을 위해 이벤트 빈도, 함수 실행 시간, 브라우저 호환성을 고려해야 함

섹션별 세부 요약

1. 도입 및 배경

  • 프론트엔드 개발에서 scroll, resize, input 등 자주 발생하는 이벤트는 성능 저하를 유발
  • 이벤트 처리 최적화를 위해 디버브스로틀 기법이 등장
  • 초기 자바스크립트에서 requestAnimationFrameLodash 등 도입 전에는 직접 구현 필요

2. 디버브 기법

  • 사용자 입력이 중단된 후에만 실행: 예) 검색 자동완성에서 API 호출 최적화
  • debounce(func, delay) 함수로 구현: setTimeout을 사용해 타이머 재설정
  • 즉시 실행 옵션 추가: debounceAdvanced(func, delay, immediate)

3. 스로틀 기법

  • 정해진 간격마다 실행: 예) resize 이벤트 처리 시 DOM 재계산 방지
  • throttle(func, limit) 함수로 구현: setTimeout을 사용해 실행 간격 제어
  • throttleAdvanced(func, limit, options)로 leading/trailing 실행 옵션 추가

4. 디버브 vs 스로틀 비교

  • 디버브: 입력 중단 후 실행 (예: input 이벤트)
  • 스로틀: 정해진 간격마다 실행 (예: scroll, resize 이벤트)

5. 라이브러리 활용

  • Lodashdebounce/throttle 사용 예:
  • import { debounce, throttle } from 'lodash';
    const debouncedFunc = debounce(() => console.log('Debounced!'), 500);
    const throttledFunc = throttle(() => console.log('Throttled!'), 500);

6. 주요 사용 사례

  • 검색 자동완성: 디버브로 API 호출 감소
  • 스크롤 애니메이션: 스로틀로 성능 향상
  • 반응형 디자인: resize 이벤트 스로틀로 DOM 계산 최적화
  • 폼 제출 방지: 디버브로 중복 제출 방지

7. 고려 사항

  • 함수 실행 시간: Chrome DevTools로 성능 분석
  • 이벤트 빈도: requestAnimationFrame 활용
  • 브라우저 호환성: performance.now() 등 폴리필 필요

8. 디버깅 전략

  • 로깅: console.log로 함수 호출 횟수 추적
  • 프로파일링: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컨텍스트 분석
  • 단위 테스트: Jest로 디버브/스로틀 동작 검증
  • test('Debounce function should only be called once after 300ms', done => {
      const mockFunc = jest.fn();
      const debouncedFunc = debounce(mockFunc, 300);
      debouncedFunc();
      debouncedFunc();
      setTimeout(() => {
        expect(mockFunc).toHaveBeenCalledTimes(1);
        done();
      }, 400);
    });

결론

  • 디버브와 스로틀은 자주 발생하는 이벤트 처리 시 성능 최적화에 필수적
  • Lodash 등 라이브러리 사용을 통해 구현 복잡도를 줄이고, 브라우저 호환성이벤트 빈도를 고려해 적용
  • 단위 테스트프로파일링 도구를 활용해 기능이 예상대로 작동하는지 검증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