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웹의 기초, 성장, 현실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웹 개발 초보자 및 기초 이해를 원하는 학습자
- HTML/CSS와 연동된 동적 기능 구현을 위한 실무 준비자
- 웹 기술 스택의 전체적인 이해를 원하는 개발자
핵심 요약
- 자바스크립트는 1995년 Netscape에서 개발된 클라이언트 측 스크립팅 언어로, HTML/CSS와 연동하여 웹 페이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
- DOM(Document Object Model)을 통해 HTML 요소를 조작하며,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서버와 데이터 통신 가능
- 2009년 Node.js 도입으로 서버 측에서도 자바스크립트 사용 가능, React, Angular, Vue 등 프레임워크로 현대 웹 개발의 핵심 기술로 자리잡음
섹션별 세부 요약
1. 자바스크립트의 탄생 배경
- 1990년대 초반 웹은 읽기 전용이었으며, 사용자 상호작용이 필요해짐
- Netscape가 브라우저 내 스크립팅 언어 개발 계획 수립, Brendan Eich이 10일 만에 JavaScript 개발
- Java와 이름만 관련이며, Mocha → LiveScript → JavaScript로 명칭 변경
2. 웹 기술 기초 개념
- 웹 페이지 : 단일 HTML 문서
- 웹 사이트 : 관련된 여러 페이지의 집합 (예: linkedin.com)
- 웹 브라우저 : Chrome, Safari 등 웹 사이트를 접근하는 애플리케이션
- HTTP : 웹 리소스 요청 및 수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3. 자바스크립트의 초기 역할
- 폼 검증, 팝업 알림, 기본 애니메이션, DOM 조작 등 간단한 기능 구현
- 예제:
alert("Welcome to my first webpage!");
4. 자바스크립트와 서버 통신
- HTTP 요청/응답을 통해 서버와 데이터 교환 가능
- 예제:
fetch("https://api.example.com/data")
.then(response => response.json())
.then(data => console.log(data));
5. 웹 페이지 로딩 프로세스
- URL 입력 → DNS 요청 → HTTP 요청 → HTML/CSS/JS 파일 수신 → DOM/CSSOM 생성 → 렌더 트리 구성 → 화면 렌더링
- 자바스크립트는 사용자 상호작용 시 DOM을 동적으로 업데이트
6. 자바스크립트의 진화
- 2005년 AJAX로 비동기 데이터 요청 가능
- 2009년 Node.js로 서버 측 자바스크립트 사용 가능
- 2013년 이후 React, Angular, Vue 등 프레임워크로 프론트엔드 개발 혁신
- 현재: 웹, 모바일(React Native), 데스크탑(Electron), IoT, AI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결론
- 자바스크립트는 HTML/CSS와 결합해 웹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기술
- DOM 조작, HTTP 통신, 서버 측 개발을 통해 현대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기반이 됨
- 초보자는 DOM 이해와 fetch() API 활용을 통해 실무에 적용, 프레임워크 학습 전 기초를 탄탄히 다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