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제2기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출범
카테고리
기획
서브카테고리
정책 기획
대상자
- 정책 기획자, 환경 정책 담당자, 지자체 기획자
- 초보자 대상: 지자체 정책 설계 및 탄소중립 전략 수립 기초 이해
핵심 요약
- 위원회 구성: 여성, 청년, 노동 등 40명의 다각도 전문가 참여, AI/기술 전문가 포함
- 정책 근거: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및 '전남도 기후위기 대응 조례' 기반 운영
- 중점 추진 방향: 부문별 탄소감축 전략 고도화, 지역 맞춤형 기후적응 정책, 녹색산업 육성
섹션별 세부 요약
1. 위원회 구성 및 역할
- 임기 변경: 제1기 위원회 임기 만료에 따른 제2기 출범
- 구성: 40명의 여성, 청년, 노동 등 사회 분야 전문가 포함, 이우범 명예교수 민간 공동위원장 선임
- 정책 심의 역할: 탄소중립·녹색성장 정책 및 계획의 심의·의결 수행
2. 첫 회의 및 주요 논의
- 2024년 기본계획 추진 결과 공유
- 부문별 탄소감축 전략 고도화 및 지역 맞춤형 정책 방향 논의
- AI 기술 활용 가능성 강조: 기후 예측, 에너지 수요 분석, 탄소배출 모니터링 등 AI의 핵심 도구 역할 인식
3. 위원회 구성 개선 제안
- 기존 위원 구성: 학계·명망가 중심 → 신산업, 디지털, 청년 전문가 참여 확대 필요
- 시대적 흐름 반영: 탄소중립 정책이 에너지 전환, 녹색산업, 디지털 전환 융합적 접근 요구
4. 향후 중점 추진 계획
- 민관 협력 기반으로 ▲부문별 탄소감축 전략 고도화
- ▲지역 맞춤형 기후적응 정책 강화
- ▲에너지 전환 촉진 및 녹색산업 육성
- ▲도민참여 확대 및 거버넌스 체계 강화
결론
- AI/기술 전문가 포함과 다양한 사회 분야 전문가 참여 확대가 탄소중립 정책의 실질적 효과를 높이는 핵심 전략임.
- 민관 협력과 지역 맞춤형 전략 수립을 통해 에너지 전환 및 녹색산업 육성에 집중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