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스탬프만으론 안 된다? Cursor bugbot이 알려준 jobId 설계 실수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DevOps
대상자
백엔드 개발자, 시스템 설계자
핵심 요약
- 타임스탬프 기반 jobId는 동일 밀리초 내 요청 충돌 가능성 존재
- timestamp + counter + random 방식으로 유니크성 + 정렬 가능성 확보
- Number.MAX_SAFE_INTEGER 초과 시 정밀도 오류 발생 → 초 단위 timestamp로 해결
섹션별 세부 요약
1. 타임스탬프 기반 jobId의 문제점
- 밀리초 단위 timestamp로 생성 시 동시 요청 충돌 가능성 발생
- 싱글스레드에서는 유니크하지만 멀티스레드/분산 환경에서 중대한 결함 발생
- Cursor AI Bug Bot 리뷰로 동시성 문제 지적 받아 개선 필요성 인식
2. 개선된 jobId 생성 방식
- timestamp + counter + random 조합으로 3가지 요소 활용
timestamp
: 시간 순서 보장counter
: 동일 밀리초 내 요청 구분random
: 충돌 가능성 최소화- 예시:
1672531200000001234567
→timestamp: 1672531200000
,counter: 123
,random: 456
3. JavaScript의 Number.MAX_SAFE_INTEGER 한계 문제
- 1.7e18 수준의 jobId 생성 시 정밀도 오류 발생 가능
- 초 단위 timestamp로
1.7e15
수준으로 안전 범위 내로 축소 - TypeScript
number
타입의 2^53 - 1 범위를 넘으면 정렬/비교 오류 발생
결론
- 타임스탬프만 사용 시 고부하 시스템에서 심각한 충돌 발생 가능성
- timestamp + counter + random 방식으로 유니크성 + 정렬 가능성 확보
- Number.MAX_SAFE_INTEGER 초과 시 초 단위 timestamp로 정밀도 오류 방지
- Cursor AI Bug Bot 리뷰 활용을 통한 안정적 jobId 설계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