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WT 암호화 알고리즘 총정리 (HMAC, RSA, ECDSA)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JWT/JWS 암호화 알고리즘 총정리! (HMAC, RSA, ECDSA)

분야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대상자

JWT 기반 인증 시스템을 구축하는 개발자, 보안 설계자

난이도: 중급~고급 (암호화 알고리즘 이해 필요)

핵심 요약

  • *JWT/JWS 암호화 알고리즘의 핵심은 인증 보안성과 효율성입니다.**
  • HMAC: 대칭키 암호화로 빠른 처리 가능 (SHA256 등 해시 알고리즘 활용)
  • RSA: 비대칭키 암호화로 서버만 키 관리 가능 (공개키로 서명, 私有키로 검증)
  • ECDSA: RSA 대비 더 짧은 키 길이로 효율성 극대화 (ECC 기반)
  • JWS 표준: JSON Web Signature 구조로 데이터 무결성 보장 (Header, Payload, Signature 구성)

섹션별 세부 요약

  1. HMAC 알고리즘
  • 대칭키 기반 암호화로 서명 및 검증 가능 (예: HMACSHA256)
  • 키 관리가 용이하지만, 키 분배 시 보안 위험 존재
  • JWT에서 주로 클라이언트-서버 간 단방향 인증에 활용
  1. RSA 알고리즘
  • 비대칭키 암호화로 공개키로 서명, 私有키로 검증 (예: RS256)
  • 서버만 私有키를 보유해 키 관리 안전성 확보
  • 대규모 시스템에서 보안성과 효율성 균형 필요
  1. ECDSA 알고리즘
  • 이lliptic curve 기반으로 RSA 대비 키 길이 20% 단축 (예: ES256)
  • 동일 보안 수준에서 처리 속도 2~3배 향상
  • 모바일 및 IoT 기기에서 자주 사용됨
  1. JWS 구조 및 표준
  • Header (암호화 알고리즘, 토큰 유형 등)
  • Payload (사용자 정보, 만료 시간 등)
  • Signature (암호화된 데이터 무결성 검증)
  • JWT 표준 기반으로 서버-클라이언트 간 보안 통신 가능

결론

  • *보안 수준과 처리 효율성을 고려해 ECDSA를 권장**
  • HMAC: 빠른 처리 필요 시 사용 (단, 키 관리 주의)
  • RSA: 대규모 시스템에서 안정적 키 관리 필요
  • ECDSA: 최신 표준으로 보안성과 성능 균형 최적화
  • 실무에서는 라이브러리(예: Java JWT, Python PyJWT) 활용
  • 서버에서만 키 관리하고, 클라이언트는 공개키로 서명 검증
  • JWT 토큰은 HTTPS로 전송해 중간자 공격 방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