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gi Search의 과제형 면접에서 탈락한 경험 요약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개발 툴
대상자
- *백엔드 개발자, 채용 담당자, 면접 프로세스 개선에 관심 있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 난이도: 중간 이상. 실무에서 요구되는 기술 스택(Go, Docker, IaC)과 채용 프로세스의 불합리성에 대한 이해 필요*
핵심 요약
- 과도한 과제 요구사항 (예: "터미널 영감 이메일 클라이언트 구현")으로 인한 지원자 시간 낭비
- 명확한 피드백 부재 및 기준 변경으로 인한 탈락 경험
- 실시간 코드 리뷰 등 더 나은 채용 프로세스 대안 제시
섹션별 세부 요약
1. 과제형 면접의 비효율성
- Kagi Search의 백엔드 개발자 채용 과정에서 take-home assignment를 요구
- 과제 주제: "최소한의 터미널 영감 이메일 클라이언트 구현" (터미널/웹앱 선택 가능)
- 명확한 가이드 부족 및 프로젝트 규모의 부담
2. 지원자의 노력과 실행 계획
- Go 기반 웹앱 구현, AWS ECS Fargate 배포, Postmark 연동
- Infra-as-Code(Pulumi) 도구 활용, 로그인/인증 기능 추가
- Pocketbase(backend/DB), TEMPL(템플릿), Pulumi(IaC) 기술 활용
3. 탈락 경험과 문제점
- 프로젝트 제출 후 기준 변경 및 명확한 피드백 부재
- "더 강력한 지원자 제출물"이라는 짧은 답변만 수령
- 시간 낭비 및 지원자 존중 부재 지적
4. 채용 프로세스 개선 제안
- Take-home assignment 대체 방안 제시 (예: 실시간 코드 리뷰, Leetcode 스타일 문제 풀이 대신 현업 요구사항 기반 평가)
- 과도한 무급 과제 요구 거절 권장, 채용자-지원자 간 시간 존중 필요
결론
- 과제형 면접 대신 실시간 코드 리뷰나 간단한 ETL 문제로 개발자 역량 평가 가능
- 지원자에게 명확한 피드백과 평가 기준 공개가 필수적
- 과도한 시간 투자 요구는 채용 프로세스의 비합리성을 반영하며, 실제 개발 문제 해결 능력을 평가하는 방식으로 전환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