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명현 교수팀, NSS 챌린지 위치 추정 우승
AI Store에서 AI코딩으로 만들어진 앱을 만나보세요!
지금 바로 방문하기

KAIST 명현 교수팀, 국제 로봇대회 위치 추정 챌린지서 우승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로봇 개발, SLAM, 인공지능

대상자

로봇 개발자, AI 연구자, 자율 시스템 개발자

핵심 요약

  • KAIST 명현 교수팀이 'NSS 챌린지'에서 1위를 차지하며, 다중 세션 위치추정 기술을 개발
  • 자체 개발한 CubicFeat, Quatro, Chamelion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강건한 정합 기술 구현**
  • 자율주행, 자율로봇 등 다양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핵심 SLAM 기술로 평가받음

섹션별 세부 요약

1. 대회 개요 및 배경

  • 2025 IEEE ICRA NSS 챌린지는 구조적 변화가 빈번한 환경에서의 다중 세션 위치추정 기술을 평가하는 대회
  • 힐티와 스탠포드대학교의 공동 주최로, 2021년부터 개최되던 힐티 SLAM 챌린지의 확장 버전
  • 자율 시스템(자율주행, 자율로봇 등)에서의 SLAM 기술이 핵심 평가 항목

2. KAIST 팀의 수상 배경 및 기술

  • 다중 시간대와 공간에서 수집된 라이다 데이터 간의 정합 문제를 해결하는 기술로 1위 차지
  • 다중 정합 프레임워크(multiway-registration)를 자체 개발
  • CubicFeat(특징점 요약 및 대응점 찾기), Quatro(전역 정합 알고리즘), Chamelion(변화 감지 기반 결과 정제) 알고리즘으로 구성

3. 기술의 산업적 활용 가능성

  • 자율주행, 자율로봇, 자율비행체 등 다양한 자율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핵심 기술
  • 복잡한 환경에서도 정밀한 상대 위치 추정 성능을 보여줘, 학문적 가치와 산업 적용 가능성 동시에 입증

4. 명현 교수의 평가 및 팀의 기록

  • 복잡한 환경에서도 정밀한 위치 추정 성능을 극대화한 기술에 대해 높이 평가
  • 2022년 2위, 2023년 라이다 부문 1위, 비전 부문 학계 1위 등 꾸준한 성과

결론

  • 다중 세션 위치 추정 기술은 자율 시스템의 핵심 기술로, CubicFeat, Quatro, Chamelion 알고리즘의 조합이 핵심
  • 난이도가 높은 환경에서도 정확한 위치 추정이 가능해, 산업 및 학문적으로 높은 가치를 가짐
  • KAIST 팀은 꾸준한 성과로 국제적 인지도를 확보하며, 자율 시스템 분야의 발전에 기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