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AI로 우리나라 군 지휘체계 빨라질까…"KCCS, 대대급서 먼저 상용화 필요"
카테고리
기획
서브카테고리
비즈니스 전략
대상자
군 전략 수립자, 방위산업체, 정책 결정자
- 난이도: 전문성 기반의 전략적 고려사항 포함*
핵심 요약
- AI와 클라우드 기술을 통해 KCCS(한국 지휘통제체계)의 현대화가 필요하다.
- 대대급에서 민간 기술(예: 5G, AI) 상용화를 우선 추진해야 한다.
- 국제 협력과 삼성SDS 등 민간 기업의 기술 도입이 필수적이다.
섹션별 세부 요약
1. KCCS 개요 및 3단계 추진 전략
- KCCS는 AI 기반의 미래 JADC2(전 영역 지휘통제체계) 구현을 목표로, 전장 데이터 통합 → 센서 데이터 통합 → AI 기반 전투 환경 조성의 3단계로 나뉜다.
- 현재 군의 클라우드 전환은 민간 기술 도입 지연으로 인해 더디다.
2. 민간 기술 도입의 필요성
- 대대급에서 5G, AI, 클라우드 기술을 우선 적용해야 전투 효율성 향상이 가능하다.
- 삼성SDS의 브라이틱스AI 플랫폼은 국방 데이터 관리 및 AI 서비스 구축에 유리하다.
3. 국제 협력 및 삼성SDS의 역할
- 미국 등 선진국은 국방 클라우드 기술에 민간 기업 참여를 제한하며 보안을 강화하고 있다.
- 삼성SDS는 자사 데이터센터와 AI 플랫폼을 통해 군의 클라우드 전환을 지원할 수 있다.
결론
- *AI와 클라우드 기술의 군 전략적 도입은 국방 현대화의 핵심이다. 삼성SDS와 같은 민간 기업의 기술 협력, 국제 협력 강화, 그리고 대대급에서의 기술 상용화**를 통해 KCCS의 성공적인 구현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