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보드 네비게이션의 포커스 관리 문제: 웹 접근성의 핵심 과제
카테고리
프로그래밍/소프트웨어 개발
서브카테고리
웹 개발
대상자
- 웹 개발자 및 접근성 전문가
- 키보드 사용자와 스크린 리더 사용자
- 복잡한 UI/UX 디자인을 다루는 팀
핵심 요약
- 포커스 관리(focus containment)는 접근성의 핵심 요소로, , JavaScript 기반 포커스 트랩,
inert
속성 등으로 해결되지만 복잡성과 한계가 존재 - JavaScript 기반 트랩은 동적 콘텐츠 처리, 에지케이스 대응이 어렵고, 메인트ナン스 부담이 큼
inert
속성은 비호환 요소를 제거해 포커스 관리를 간소화하지만, "도넛 홀(donut hole)" 문제(부분적 상호작용 허용)를 해결하지 못함- 접근성 팀이 많은 자원을 투입해도 해결되지 않는 핵심 문제로, 브라우저 API 개선이 시급
섹션별 세부 요약
1. 포커스 관리의 중요성
- 접근성: 운동 기능 장애 사용자가 키보드로만 네비게이션 가능
- 사용자 효율성: 키보드 단축키를 통한 빠른 조작
- 스크린 리더 호환성: 포커스 관리가 페이지 컨텍스트 이해에 필수적
2. 현재의 문제 사례
- 오버레이(Overlay)의 포커스 누락: GitLab의 검색 바에서
Tab
을 누르면 화면 밖으로 이동 - 불일치된 키 조작: Mozilla의 일부 컴포넌트는
Tab
, 다른 일부는Arrow
키 사용 - 핵심 기능 접근 불가: Amazon, YouTube 등에서 특정 상태에서 키보드로 사용 불가
3. 기존 해결 방안의 한계
- JavaScript 기반 트랩:
- 포커스 가능한 요소 목록 생성 및 유지
- 경계에서 Tab/Shift+Tab
처리
- 트랩 해제 시 포커스 복원
- 복잡성: 100+ 줄의 코드, 동적 콘텐츠 대응 불가, 에지케이스 처리 어려움
요소:
- 네이티브 포커스 관리 지원
- 브라우저 UI 접근 가능, 백드롭 및 스택 컨텍스트 포함
- 단일 컨테이너 제한, 다중 상호작용 레이어 지원 불가, 커스텀 컴포넌트 제작 어려움
4. `inert` 속성의 한계
- 비호환 요소 제거: 포커스 트랩의 반대 접근
- "도넛 홀" 문제: 모달 내 토스트 알림과 같은 부분적 상호작용 허용 불가
- DOM 변화 감지 필요: 새로 추가된 요소에 대한
inert
속성 적용이 복잡
결론
inert
속성을 활용해 비호환 요소를 비활성화하는 것이 현재 가장 효과적인 접근법- 브라우저 API 개선을 통해
및
inert
의 한계를 해결해야 하며, 개발자는 다중 레이어 포커스 관리를 위한 커스텀 솔루션 구현을 고려해야 함 - 접근성 테스트를 필수화하고, 사용자 페르소나별 시나리오를 반영한 디자인 검증이 필요함